[Reading] 강아지를 갖고 싶어요.

제가 어릴 때 우리 집에는 항상 강아지가 있었어요. 우리 가족은 개를 정말 좋아해서 여행 갈 때도 항상 개를 데리고 다녔어요. 제가 지금까지 개를 좋아하는 건 아마 어릴 때 재미있었던 기억 때문일 거예요. 개를 많이 키웠지만 그 중에서 마지막으로 키운 ‘까망이’가 가장 생각나요.

까망이는 까만색 치와와였는데 우리하고 10년 동안 같이 살았어요. 저는 학교에 갔다 돌아오면 까망이하고 놀고 밥 주고 까망이를 제 동생처럼 돌봤어요. 까망이는 우리 가족과도 같았어요. 까망이가 처음 우리 집에 왔을 때 6개월이었는데 크기가 제 손바닥만 했어요. 동물 병원 의사 선생님은 까망이가 몸이 너무 약해서 금방 죽을 것 같다고 했어요. 하지만 까망이는 우리하고 10년 동안 건강하게 살다가 죽었어요. 10년 전에요.

까망이가 죽고 난 다음에 우리 부모님은 다시 개를 키우지 않으셨어요. 까망이를 잃고 나서 마음이 너무 아프셨나 봐요. 작년 겨울 아빠 생신 때 개를 사 드릴까 했는데 아빠가 거절하셨어요. 다시는 그렇게 마음 아파하고 싶지 않으시대요. 아빠는 아직 10년 전에 죽은 까망이가 많이 생각나시나 봐요.

저는 지금 일 때문에 부모님과 따로 떨어져 살고 있어요. 혼자 사는 게 편하지만 밤에 집에 들어오면 외롭다는 생각을 많이 해요. 강아지를 키울까 생각했지만 강아지를 키우기에는 지금 집이 너무 좁아요. 얼마 전에 친구가 같이 큰 집으로 이사가지 않겠냐고 물어봐서 지금 고민 중이에요. 그러면 외롭지도 않고 친구도 강아지를 좋아하니까 같이 키울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친구하고 같이 사는 게 좋을까요?

단어와 문법>

치와와 : Chihuahua
돌보다 : to take care of someone
Noun + 만 하다 (손바닥만 하다) : as the same size as –
키우다 : to raise kids/animals
Verb + (으)ㄹ까 (생각)하다(사 드릴까 했는데) : be thinking of doing something
거절하다 : to refuse
Verb/adjective + 나 보다(아프셨나 봐요) : to seem like/ to look like
따로 : separately
떨어지다 : to be far away, to drop, to fall
외롭다 : to be lonely
Verb/adjective + 다/라는 생각을 하다 : to think that –
Verb+ 기에는 + adjective : It is adjective to do –
얼마 전 : not long ago
고민 : worrisome, concern
Noun + _중이다 : in the middle of doing –

 

여기를 누르시면 오디오 파일을 들을 수 있습니다.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Reading]주말에는 쉬고 싶어요. 

주말에는 쉬고 싶어요. I want to rest on weekends.

<금요일 저녁 6시 회사에서>

혜연: 저… 부장님. 저 먼저 가 보겠습니다.
부장님 : 네, 그러세요. 그런데 우리 내일 다 나와야 되는 거 알고 있죠?
혜연: 네, 저 그런데 부장님, 내일 언니 결혼식이 있어서요.
부장님 : 언니 결혼식이 몇 시인데요? 끝나고 와요. 우리 내일하고 일요일하고 다 일해야 마감 시간 맞출 수 있는 거 알죠?
혜연: 아, 네… 알겠습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친구와 만나서>

혜연 : 나 내일도 회사 나가야 돼.
성훈 : 또? 너 지난 주에도 일하지 않았어?
혜연 : 어, 월말이라 일이 밀려서.
성훈 : 잠깐, 너 내일 너네 누나 결혼식 아니야?  부장님한테 말했어?
혜연 : 당연히 얘기했지. 결혼식이 12시니까 끝나고 3시쯤 오래.
성훈 : 야, 너네 회사 너무 하는데…
혜연 : 하…우리만 그런가 뭐. 다른 데도 다 그런데…
성훈 : 우리 회사는 안 그러잖아. 우리는 주말에 보통 일 안 해.
혜연 : 좋겠다. 좋은 회사 다녀서. 나도 주말에 쉬고 싶지. 매일 야근도 하는데 주말까지 일하면 나 이러다가 쓰러질지도 몰라.
성훈 : 내일 그냥 부장님한테 못 간다고 해.
혜연 : 안 돼. 그러다가 잘리면 어쩌려고.
성훈 : 우리 회사ㅑ 로 와.
혜연 : 네가 무슨 사장이냐?
성훈 : 우리 사장님 나 예뻐하시잖아. 내가 잘 말해 줄게.
혜연 : 그러면 정말 좋겠다. 야, 우리 우울한 얘기하지 말고 밥이나 먹자.

 

단어>

마감 : due, deadline
마감 시간을 맞추다 : to meet the deadline
월말 : end of month
일이 밀리다 : to get behind in one’s work
당연히 : of course
너네: a casual form for 너희(you guys) or 너의(yours)  (Koreans often read it as 니네)
너무하다 : to be too much
야근하다 : to work overtime at night
이러다 : do like this
쓰러지다 : to faint
잘리다 : to get fired (Koreans often read as ‘짤리다’)
예뻐하다 : to adore someone, 예쁘 + 어하다
우울하다 : to be depressed

문법>

-(으)래 => short form for 오라고 해 which is an indirect speech for requests or commands.
-(으)ㄴ가 => a question verb ending
~~뭐. => to express resignation
그런데 => like that. It is not ‘but’ or ‘however’. 그렇다 + (으)ㄴ데(there is more to say)
-잖아 => a verb ending to mention a fact
-다가 => If someone keeps doing it, it will be
-(으)ㄹ지도 모르다 => maybe
어쩌려고 => a short form for 어쩌려고 그래 which means ‘what do i do?’. 어쩌다 + 려고 + 그래
-(이)나 => to express that it is not the best choice, but take it.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읽기] 내가 직거래 시장을 좋아하는 이유

 

나는 주말마다 집 근처에서 열리는 직거래 시장에 간다. 직거래 시장은 매주 주말에 열리는데 나는 슈퍼마켓보다 직거래 시장에 가는 것을 더 좋아한다.
내가 직거래 시장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직거래 시장 음식이 슈퍼마켓보다 신선하기 때문이다. 시장의 물건들은 생산지에서 바로 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중간에 상인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물건을 유통하는 시간이 짧아서 소비자가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농부에게서 바로 사는 것과 비슷하다. 또한 유통하는 시간이 길면 보통 음식에 약품을 처리하지만 직거래에는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게 먹을 수 있다. 게다가 물건을 포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레기도 줄일 수 있어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
내가 직거래 시장을 좋아하는 또 한 가지 이유는 그곳에서는 단지 물건만 파는 것이 아니라 문화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는 보통 무료로 작은 콘서트가 열리는데 유명하지는 않지만 실력이 있는 사람들이 그 무대에서 자신들의 장기를 뽐낸다. 가수, 댄서, 마술사, 예술가 등 각 방면의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갈고 닦은 솜씨를 보여 주고 관객과 소통한다. 좋은 물건도 사고 공연도 즐길 수 있으니 이게 바로 일석이조가 아닐까.
나는 이번 주말에도 직거래 시장에 갈 것이다. 사방이 창문으로 막혀 있는 슈퍼마켓보다는 탁 트인 넓은 공간에서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질 수 있는 직거래 시장이 나는 참 좋다.

 

단어>

직거래 시장 : farmer’s market
신선하다 : to be fresh
생산지: area of production
상인: merchant
거치다: to go through
유통하다 : to distribute
약품: chemical, medicine
처리하다 : to treat, deal
게다가 : In addition (adverb)
환경: environment
문화: culture
실력이 있다 : to be talent
장기를 뽐내다 : to show people one’s specialty
솜씨를 보여주다 : to show ability
관객 : audience
소통하다 : to communicate
일석이조 :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사방 : on every side
탁  트이다 : to be very opened
어우러지다 : to harmonize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Reading] 동화로 배우는 한국어 – Learn Korean with children’s stories

농부와 세 아들 (A farmer and three sons) :

There are some mistakes of spelling in the video, so I corrected them.

열심히 일을 하던 농부가 그만 나이가 들어 세상을 떠나게 되었어요.
나이가 들다 : to get old
세상을 떠나다 : to die

농부는 죽기 전에 세 아들들을 불러 모아 이야기를 하였어요.
-기 전에 : before Verb
부르다 + 모으다 => 불러 모으다 : to call some people to gather

“아들들아, 내가 이젠 나이가 들어 얼마 살지를 못 하겠구나.”
이젠 : the short form of 이제는

“그래서 너희들에게 보물이 묻혀있는 곳을 알려 주려고 불렀단다.”
보물 : treasure
-이/가 묻혀있다: to be buried
부르다 : to call

일하기 싫어하던 아들들은 농부의 말에 귀가 솔깃했어요.
귀가 솔깃하다 : be tempting to hear

“말씀하세요. 아버지. 어디에 보물이 묻혀 있나요?”

“포도밭에 많은 보물을 숨겨 놨단다.”
포도밭 : grape farm
숨겨 놓다 : to hide
놨단다 is the short form of 놓았단다.

“찾아서 서로 사이좋게 나눠 가지거라.”
사이좋게 : peacefully
나누다 : to share
가지다 : to have
-거라 : a verb ending for commanding

“포도밭 어디쯤에 묻으셨어요?”
묻다 : bury

“하도 오래 전 일이라 그것까지는 기억이 안 나는구나.”
하도 : too

농부는 그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어요.

아들들은 농부가 죽자 서둘러 삽과 괭이를 들고 밭으로 나갔어요.
삽 : shovel
괭이 : hoe

바로 아버지가 숨겨놓은 보물을 찾기 위해서였어요.

너무나 넓은 밭이라서 아들들은 쉬지 않고 매일매일 밭을 팠어요.
파다 : dig

그러나 보물은 어디에도 보이질 않았어요.
보이질 : the short form for 보이지를

“쳇, 아버지가 우리에게 거짓말을 한 게 아닐까?”

“맞아, 도대체 이 넓디 넓은 밭 어디에 있는 거야?”
넓디 넓다 : so wide

아들들은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어요.
불만 : complaint
이만저만이 아니다 : extremely, not a little

“아니야, 틀림없이 어딘가 있을 거야.”
틀림없이 : surely

막내가 다시 밭을 파러 가자 형들도 보물을 뺏기기 싫어 다시 열심히 밭을 팠어요.
막내 : the youngest

하지만 아무리 파도 보물은 나오지 않았답니다.

결국 아들들은 아버지를 원망하며 포기하고 말았어요.
원망하다 : blame

여름이 다가오자 포도밭에는 크고 맛있는 포도가 아주 많이 열렸어요.
(과일이) 열리다 : (fruit) is hung on a tree.

아들들이 쉬지 않고 열심히 밭을 팠기 때문이었어요.

그제서야 아들들은 아버지가 숨겨 둔 보물이 바로 열심히 땀을 흘려 얻는 포도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제서야 : a right word for this is 그제야; it means ‘not until that’ or ‘only after that’.

그 후 아들들은 사이좋게 포도밭을 가꾸며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가꾸다 : to grow, to cultivate

[Reading] 아이스링크와 추억

오늘 집 근처에 있는 아이스링크에 다녀 왔다. 마지막으로 스케이트를 탔던 게 6년 전이라 설레기도 했고 걱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도착하자마자 나는 김연아로 변신, 정말 1시간 반 동안 즐겁게 스케이트를 탔다. 정말 오랜만에 아이스링크에서 스케이트를 타니 고등학교 때 생각이 났다.

나는 고등학교를 잠실대교 건너에 있는 학교에 다녔는데 우리 학교에서 롯데월드까지는 버스로 한 정거장, 걸어서 다리를 건너면 20분 정도 걸리는 거리였다. 롯데월드에 있는 아이스링크는 나와 내 친구들의 공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이었다.  가끔 아침에 선생님이 출석을 부르고 나면 몰래 빠져 나와 걸어서 잠실대교를 건너 롯데월드로 가고는 했다. 아침에 가면 하키 선수들이 가끔 와서 연습을 하고는 했는데 나와 내 친구는 멋있는 하키 선수들을 한 동안 보다가 학교에 돌아갈 시간을 놓치기도 했다.

공부만 미친 듯이 하고 즐길 것이 없었던 그때가 그립지는 않지만 그때 나와 함께 깔깔대고 웃던 내 친구들이 오늘 참 그립다.

2014년 7월 12일 금요일 친구가 무척 그리운 밤에…

 

단어와 문법>

아이스링크 : ice link
설레다 : to be excited
-기도 하고 -기도 하다: also verb/adj, also verb/adj
오랜만에: after a long interval
-자마자 : as soon as
변신: transform
-(으)니: the short form for -(으)니까
잠실대교: Jamshil bridge in Seoul
정거장: bus stop
스트레스를 풀다: to relieve stress
출석을 부르다: to call a roll
몰래: secretly, in secret
빠져 나오다: to escape
하키: hockey
선수: player, athlete
한 동안 : quite a while
연습하다: to practice
-다가: while, during
시간을 놓치다 : to miss out
미친 듯이: madly
그립다: to miss something/someone
깔깔대고 웃다: to laugh loudly
-던: a verb ending to express reminiscence

 

[Reading] 못 먹는 음식 – 알레르기

338_i1

이미지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3349&cid=41312&categoryId=41438

어제 친구들과 태국 식당에서 저녁을 먹다가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아무 음식이나 잘 먹는 편이라서 가리는 음식이 별로 없지만 내 친구 중에 한 명은 망고를 못 먹는다고 하고 다른 한 친구는 땅콩을 못 먹는다고 했다.

미국에 와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이 한국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지금까지 한국에 살면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을 본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여기에 와서 벌써 10 명 가까이 되는 친구들이 모두 땅콩 알레르기가 있었다.  보통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견과류에도 알레르기가 있다고 한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우리 가족도 못 먹는 음식이 많았다.  우리 언니는 조개나 새우 같은 갑각류를 많이 먹으면 두드러기가 난다.  우리 아빠는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다.  복숭아 알레르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복숭아에 있는 털 때문이라고 한다.

두드러기가 나면 살이 빨갛게 부어 오르고 매우 간지러운데 간지럽다고 긁으면 상처가 나기 때문에 절대 긁으면 안 된다.  이럴 때는 얼음 찜질이나 피부 약을 발라서 그 부위의 열을 내리는 것이 좋다.

 

대화>>

직원 : 주문하시겠어요?
민희 : 네, 이걸로 주세요. 그런데 제가 땅콩 알레르기가 있어서 그러는데 혹시 여기에 땅콩이 있나요?
직원 : 아니요. 땅콩은 없는데 아마 땅콩기름을 사용할지도 모르니까 요리사님한테 물어 보고 올게요.

(잠시 후)

직원 : 저희는 포도씨 기름을 사용한대요. 그리고 도마도 견과류를 사용한 도마와 따로 쓰니까 괜찮을 거예요.
민희 : 아, 고맙습니다. 그럼, 저는 이걸로 할게요.

 

단어>>

땅콩 : peanuts
알레르기 : allergy
두드러기 : rash
긁다 : scratch
견과류 : nuts
갑각류 : crustacean
복숭아 : peach
흔히 : often
털 : fur
도마 : cutting board
따로 : seperately
살 : skin, body fat
간지럽다 : to be itchy
상처 : scar
긁다 : to scratch
얼음 : ice
찜질 : fomentation with ice or hot packs
부어 오르다 : be swollen
피부 : skin
부위 : part, region
열을 내리다 : to reduce fever
기름 :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