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주말에는 쉬고 싶어요. 

주말에는 쉬고 싶어요. I want to rest on weekends.

<금요일 저녁 6시 회사에서>

혜연: 저… 부장님. 저 먼저 가 보겠습니다.
부장님 : 네, 그러세요. 그런데 우리 내일 다 나와야 되는 거 알고 있죠?
혜연: 네, 저 그런데 부장님, 내일 언니 결혼식이 있어서요.
부장님 : 언니 결혼식이 몇 시인데요? 끝나고 와요. 우리 내일하고 일요일하고 다 일해야 마감 시간 맞출 수 있는 거 알죠?
혜연: 아, 네… 알겠습니다. 내일 뵙겠습니다.

 

<친구와 만나서>

혜연 : 나 내일도 회사 나가야 돼.
성훈 : 또? 너 지난 주에도 일하지 않았어?
혜연 : 어, 월말이라 일이 밀려서.
성훈 : 잠깐, 너 내일 너네 누나 결혼식 아니야?  부장님한테 말했어?
혜연 : 당연히 얘기했지. 결혼식이 12시니까 끝나고 3시쯤 오래.
성훈 : 야, 너네 회사 너무 하는데…
혜연 : 하…우리만 그런가 뭐. 다른 데도 다 그런데…
성훈 : 우리 회사는 안 그러잖아. 우리는 주말에 보통 일 안 해.
혜연 : 좋겠다. 좋은 회사 다녀서. 나도 주말에 쉬고 싶지. 매일 야근도 하는데 주말까지 일하면 나 이러다가 쓰러질지도 몰라.
성훈 : 내일 그냥 부장님한테 못 간다고 해.
혜연 : 안 돼. 그러다가 잘리면 어쩌려고.
성훈 : 우리 회사ㅑ 로 와.
혜연 : 네가 무슨 사장이냐?
성훈 : 우리 사장님 나 예뻐하시잖아. 내가 잘 말해 줄게.
혜연 : 그러면 정말 좋겠다. 야, 우리 우울한 얘기하지 말고 밥이나 먹자.

 

단어>

마감 : due, deadline
마감 시간을 맞추다 : to meet the deadline
월말 : end of month
일이 밀리다 : to get behind in one’s work
당연히 : of course
너네: a casual form for 너희(you guys) or 너의(yours)  (Koreans often read it as 니네)
너무하다 : to be too much
야근하다 : to work overtime at night
이러다 : do like this
쓰러지다 : to faint
잘리다 : to get fired (Koreans often read as ‘짤리다’)
예뻐하다 : to adore someone, 예쁘 + 어하다
우울하다 : to be depressed

문법>

-(으)래 => short form for 오라고 해 which is an indirect speech for requests or commands.
-(으)ㄴ가 => a question verb ending
~~뭐. => to express resignation
그런데 => like that. It is not ‘but’ or ‘however’. 그렇다 + (으)ㄴ데(there is more to say)
-잖아 => a verb ending to mention a fact
-다가 => If someone keeps doing it, it will be
-(으)ㄹ지도 모르다 => maybe
어쩌려고 => a short form for 어쩌려고 그래 which means ‘what do i do?’. 어쩌다 + 려고 + 그래
-(이)나 => to express that it is not the best choice, but take it.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Grammar] -(으)ㄹ지도 모르다 May, maybe

-(으)ㄹ지도 모르다

means may’, which expresses ‘guess’ or ‘not sure’.
모르다 should be present tense or future tense.
-(으)ㄹ 수도 있다 is similar to -(으)ㄹ지도 모르다
It is often used with ‘아마(maybe)’. 

verb/adjective(ends with a consonant) + 을지도 모르다 
verb/adjective(ends with a vowel) +ㄹ지도 모르다 
Noun + 일지도 모르다

For example, 
비가 오다(to rain) : 비가 올지도 몰라요. (=비가 올 수도 있어요)
집에 없다(be not at home) : 집에 없을지도 몰라요. (=집에 없을 수도 있어요)
좋아하다(to like)  : 안 좋아할지도 몰라요. (=안 좋아할 수도 있어요)
먹다(to eat)  : 안 먹을지도 몰라요. (=안 먹을수도 있어요)
비싸다 (be expensive) : 비쌀지도 몰라요. (=비쌀 수도 있어요)
범인(criminal) : 범인일지도 몰라요. (= 범인일 수도 있어요)

*irregular
듣다 (to listen) : 들을지도 몰라요.
춥다 (be cold) : 추울지도 몰라요.

*ㄹ final consonant
울다 (to cry) : 울지도 몰라요.

More sentences>>
아마 다른 사람이 들을지도 모르니까 조용히 이야기하세요.
Other people may listen, please talk quietly.

지금 백화점에 가면 사람이 많을지도 몰라요.
If you go to the department store now, there may be a lot of people.

아마 선생님이 학교에 안 계실지도 모르는데 여기서 기다릴까요?
The teacher may not be at the school, how about wait for the teacher here?

내일 비가 올지도 모르니까 우산을 가지고 가세요.
It may rain tomorrow, please bring an umbrella.

날씨가 추울지도 모르니까 두꺼운 옷을 꼭 챙기세요.
The weather may be cold, please bring a warm clot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