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날에 빨간 모자 망토를 좋아하는 아이가 있었어요. 사람들은 그 아이를 빨간 모자라고 불렀어요. 어느 날, 어머니가 빨간 모자에게 할머니께 음식을 갖다 드리라고 했어요. 어머니는 바구니를 주시면서 “숲에서 모르는 사람하고 절대 이야기하면 안 된다.”라고 말씀하셨어요.
빨간 모자가 할머니 집으로 가려고 숲으로 들어왔을 때 늑대가 빨간 모자를 봤어요. 늑대는 너무 배가 고파서 빨간 모자를 잡아 먹고 싶었어요. 늑대는 빨간 모자에게 말을 걸었어요. “빨간 모자야, 어디에 가니?”. 빨간 모자가 대답했어요. “할머니 댁에 음식을 갖다 드리러 가요.”
늑대는 빨간 모자가 도착하기 전에 할머니 집으로 갔어요. 늑대는 할머니를 옷장에 가둔 후에 할머니 옷을 입고 할머니 침대에 누웠어요.
저는 재미교포 2세예요. 제 부모님은 1968년에 미국으로 이민 오셨어요. 제가 어릴 때 제 부모님은 워싱턴에서 세탁소를 하셨어요. 두 분은 정말 열심히 일하셨어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하셨어요.
어릴 때는 부모님께서 일만 하는 것이 싫었어요. 다른 친구들은 여름 방학에 캠프도 가고 여행도 가는데 우리는 부모님이 일을 해서 여행을 갈 수 없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부모님을 이해할 수 있어요.
지금 부모님은 연세가 많으셔서 일을 안 하세요. 그리고 작년에 LA로 이사하셨어요. LA에 부모님 친구도 많이 사셔서 제 부모님은 LA를 정말 좋아하세요.
저는 일주일에 한 번 부모님께 전화를 드려요. 부모님께서는 제 아이들을 많이 보고 싶어하세요. 바빠서 자주 못 뵙지만 저도 부모님이 아주 많이 보고 싶어요. 다음 달에 부모님을 뵈러 LA에 갈 거예요.
단어와 문법>
재미교포 : Koreans who immigrated to America
2세 : second generation
부모님 : parents -(으)로: direction particle, to or toward
이민(을) 가다/오다 : to immigrate -(으)시-: honorific conjugation (click here to study )
어리다 : to be young -(으)ㄹ 때: when
워싱턴 : Washington D.C
세탁소 : laundry shop
분 : honorific form for 사람
열심히 : (do something) very hard -께서 : honorific form for the subject particle 이/가 -만 : only Verb + 는 것: a gerund form
싫다 : to dislike
다르다 : to be different (다른 : other)
여름 : Summer
방학 : vacation for student
캠프 : camp
여행 : trip -(으)ㄹ 수 있다 / 없다 : a verb ending which means ‘can/cannot’ (click here to study)
하지만 : but, however, although
이해하다 : to understand
연세 :honorific for 나이 (age)
살다 : to live (click here to study ㄹ drop)
드리다 : to give something to elder people -고 싶어하다 : to want to do, it is for 3rd person subject (click here to study)
뵙다 :honorific form for 만나다 (to meet), which is used for meeting elder people
뵈다 :honorific form for 만나다 (to meet), which is used for meeting elder people
* 뵙다 and 뵈다 are the same, but 뵙다 is used for verb endings that start with consonants and 뵈다 is used for verb endings that start with vowels.
When you learn Korean, you will hear terms like formal, polite and honorific. I want to explain this to you in this post.
Formality is about situation. You use formal endings like -습니다, -는다 when you have business meetings, presentations or ceremonies. For normal situations(non-formal) like talking to family, friends or people who you know well, you can use -아/어/여요 or -아/어/여.
Politeness is about listener. When you talk to someone who is older that you or higher position, you should use polite endings like 습니다 or 아/어/여요. When you talk to someone who is the same age as you or younger, you will use -는다 or -아/어/여.
formal
non-formal
polite
-(스)ㅂ니다
아/어/여요
non-polite
-는다
아/어/여
For example,
비가 왔습니다. (formal, polite : news anchor)
비가 왔어요. (non-formal, polite : a kid to a mom)
비가 온다. (formal, non-polite : writing a diary, news paper, books)
비가 와. (non-formal, non-polite : between friends or to young people)
Honorific formsare used when a subject is a person who is older generation or higher position while politeness is about listener. You will use -(으)시 after verbs and adjectives. For example,
One more thing, 저 and 나 both are ‘I’ or ‘me’. 저 is humble way which is polite, 나 is non-polite. So if you use 저(I,me), you’d better use -(스)ㅂ니다 or -아/어/여요. On the other hand, if you use 나, you can use -ㄴ/는다 or 아/어/여.
When we make conversations, we have to consider four different ways of speech situations. First is situation, which is the occasion is formal or informal. Formal situation 격식체(1) is written, meetings, announcement or TV news etc. Conversational situation 비격식체(2) is normal conversations between family, friends or co-workers etc.
And we also have to consider who are the listeners. When you talk to elders or boss, you should use ‘polite speech 존댓말(3)’. On the other hand, when you talk to your friends(the same age) or younger people who are very close to you, you can use ‘plain speech 반말(4)’.
1. Statement: verb+는다/ㄴ다, adjective+다 (past tense: 았/었/였다, future tense: -을 것이다=을 거다). We often use this form for writing journals, talking to young people or friends in a formal way. For example,
present
past
future
Polite
갑니다
갔습니다
갈 겁니다/겠습니다.
Casual
간다
갔다
갈 것이다=갈 거다/겠다
For example, 지난 주에 날씨가 너무 안 좋았습니다. -> 지난 주에 날씨가 너무 안 좋았다. 내일 학교에 갑니다.(formal polite) -> 내일 학교에 간다. 지금부터 샌드위치를 만들겠습니다. -> 지금부터 샌드위치를 만들겠다. 저 이제 집에 갑니다. -> 나 이제 간다.
2. Question : verb/adjective+냐? or 니?. 니 sounds more soft and friendly than 냐, Korean men use 냐 more than women. We use this for asking questions between friends and to people who are way younger than us and know them very well. For example, 40 year old uncle asks something about his 10 year old nephew. or two very close friends.
present
past
future
Polite
갑니까?
갔습니까?
갈 겁니까?
Casual
가냐? or 가니?
갔냐? or 가니?
갈 거냐?/갈 거니?
For example, 민수 씨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 민수 지금 어디에 있냐? / 민수 지금 어디에 있니? 밥 먹었습니까? -> 밥 먹었냐? / 밥 먹었니? 내일 무엇을 할 겁니까? -> 내일 뭐 할 거냐? / 내일 뭐 할 거니?
3. Suggestion : verb + 자
present
past
future
Polite
갑시다
x
x
Casual
가자
x
x
For example, 내일 공항에 같이 갑시다. -> 내일 공항에 같이 가자. 밥 먹읍시다. -> 밥 먹자.
4. Command/request : verb + 아/어/여라
present
past
future
Polite
가십시오
x
x
Casual
가라
x
x
For example, 이쪽으로 가십시오. -> 이쪽으로 가라. 음식을 드십시오. -> 음식을 먹어라. 안녕히 주무십시오. -> 잘 자라. 가지 마십시오. -> 가지 마라.
5. Nouns : Noun+이다 is “formal plain” form. For example, 저는 김준성입니다.(formal polite) -> 나는 김준성이다. (formal p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