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감기에 걸렸어요. I have a cold

어제 열이 많이 나고 머리가 많이 아팠어요. 그래서 회사에 안 가고 어제 집에서 일을 했어요. 아침에 감기약을 먹었는데 오후에 계속 머리가 아팠어요. 그리고 기침도 났어요. 밤에는 콧물도 나와서 잘 때 아주 힘들었어요.

오늘 아침에 친구가 전화했어요. “많이 아파요? 집에 음식 있어요? 제가 죽을 사 가지고 갈까요?”. 우리 집에 음식이 하나도 없었어요. 그래서 제가 말했어요. “고마워요.”

오후에 친구가 집에 왔어요. 하지만 우리 집에 안 들어왔어요. 제 친구는 집 밖에서 저한테 전화했어요. “죽이 문 앞에 있어요. 빨리 나으세요!”

죽이 정말 맛있었어요. 오늘은 죽을 먹고 일찍 잘 거예요. 감기에 걸렸을 때는 잘 먹고 잘 자야 돼요. 여러분도 감기 조심하세요!

<vocabulary & expressions>

감기에 걸리다 to have a cold
열이 나다 to have fever
머리가 아프다 to have a headache ( 아팠어요. Click here to learn 으 irregular)
-고 and : to connect two verbs/adjectives/sentences.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고)
-는데 but, however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는데)
계속 continuously
기침이 나다 to cough
콧물이 나다 to have runny nose
-(으)ㄹ 때 when, at the time
사 가지고 가다 to buy something and go
-(으)ㄹ까요? to ask someone’s opinion or suggest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을까요?)
하나도 not even one + negation
낫다 to get better (나으세요. Click here to learn more ㅅ drop)
-(아/어/해)야 돼요. have to / should (Click here to learn more 야 돼요.)

#야 돼요 #야 되다 #야 하다 #have to Korean #는데 grammar #은데 grammar #야 돼요 grammar #까요 grammar #을까요 grammar #Korean beginner list #grammar list #Korean reading #Korean lessons #learning Korean

[Reading] 감기에 걸렸어요. I have a cold.

오늘 아침에 일어났는데 머리가 깨질듯이 아팠다. 눈치가 보였지만 도저히 일을 할 수 없을 것 같아서 회사에 병가를 내고 집에서 쉬기로 했다. 아침을 대충 먹고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머리는 계속 아프고 어지럽기까지 했다. 오후가 되니까 목도 간질간질하고 기침도 좀 나는 것 같아서 감기약을 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집에 사다 놓은 감기약이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아픈 몸을 이끌고 약을 사러 약국에 갔다. 약사 선생님이 감기약을 주시면서 식후 세 번 약을 먹고 푹 쉬어야 한다고 하셨다.

내가 감기에 걸렸다고 하니까 친구가 오후에 을 사 가지고 온다고 했다. 마침 입맛도 없고 집에 먹을 것도 없었는데 친구가 죽을 사 가지고 온다고 해서 정말 고마웠다. 친구 얼굴을 보고 싶었지만 친구에게 감기가 옮을까 봐 친구에게 그냥 집앞에 놓고 가라고 했다. 약을 먹은 후에 몸에 힘이 너무 없어서 다시 잠자리에 들었다. 한숨 푹 자고 나니 몸이 좀 개운해졌다. 일어나서 친구가 놓고 간 죽 가방을 열어 보니 친구가 써 놓은 카드가 있었다. “이 죽 먹으면 내일 씻은듯이 나을 거야! 빨리 나아!”. 친구의 카드를 보니까 눈물이 나왔다. 혼자 집에 있을 때 아프면 정말 서럽다. 그래도 친구가 있어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빨리 나아서 회사도 가고 친구에게 밥도 사줘야겠다.

<vocabulary and expressions>

머리가 깨질듯이 아프다 to have a headache that feels like my head is going to crack.
눈치가 보이다 to feel uncomfortable / to feel walking on eggshells
도저히 –(으)ㄹ 수 없다 I can’t — at all.
병가를 내다 to take a sick day
-기로 하다 to decide to (click here to learn more)
대충 roughly
-까지 하다 even —
간질간질하다 itchy, ticklish
사다 놓다 buy and keep
아픈 몸을 이끌고 —하다 do something with a sick body
ㄴ/는다고 하다 (쉬어야 한다고 하셨다) indirect speech
식후 after meal / 식전 before meal
죽 porridge
마침 (adverb) just in time
입맛이 없다 to have no appetite
(병/감기가) 옮다 to be infected
-(으)ㄹ까 봐 to be afraid of — (click here to learn more)
한숨 푹 자다 to sleep well
몸이 개운하다 body feels refresh
(병/감기가) 씻은듯이 낫다 (disease/cold) gets better cleanly
서럽다 sad


#Korean reading #learning Korean #까 봐 grammar #을까 봐 grammar #advanced Korean #기로 하다 grammar #Korean intermediate grammar #도저히 means #Korean lessons #Korean grammar #Korean online

Thanks for your support!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appy New Year!

For Koreans, Lunar New Year is the biggest holiday of the year. For Lunar New Year, we take three days off to see family and relatives. The holiday begins a day before Seollal(설날 New Year’s Day) and ends a day after New Year’s Day. A day before New Year’s Day, we go to our oldest uncle’s house(father side) where usually is held a ceremonial event. On this day, we make tons of food for the ceremony like Namool(vegetable side dishes), Mandoo(dumplings), Dduckguk(rice cake soup) and many more. All of this food is served on a big table in early morning of New Year’s Day for a traditional ceremony.

This ceremony is for our ancestors. In early morning on New Year’s Day, we write our ancestors names on a piece of paper and put it on the table as well as the food. And we bow to our ancestors to appreciate what they did for us. After the ceremony, we can have the delicious food for breakfast!!!!!!

Dduckguk is the most important food on New Year’s Day. Dduck(떡) is rice paste and guk(국) is soup. The rice paste for Dduckguk originally looks like a long tube, and we call it Gah-rae Dduck(가래떡). We slice 가래떡 into thin pieces to make the soup. Because 가래떡 is long and white, Dduckguk(떡국) represents longevity and pureness. Thus, we say that we get one year older after eating one bowl of Dduckguk for breakfast on New Year’s Day. (I wanted to stop eating Dduckguk after I turned 20. Haha!)

After the big breakfast, children give their parents, uncles, aunts and grandparents New Year’s bow(Sebe세배). When we give older generation Sebe, we say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ope you have a lot of luck on new year). And older generation give them hopeful wishes and pretty silk pockets (Bok Joomoney 복주머니). As you can guess, there is money inside of the Bok Joomoney. We call this money as Sebetdon(세뱃돈). When I was a kid, I gave all of this money to my mom because my mom said that she will keep the money for my future. I haven’t seen that money since then, but I guess it is already in my stomach as food. 🙂

In the afternoon, we play Yootnori(윷놀이) which is a traditional game with four wooden sticks. It is very simple, and all of the family can play together, so I really liked it when I was a kid. For lunch, we put all the vegetable side dishes in a big bowl together with Gochujang(고추장), make Bibimbop(비빔밥). I really miss my aunts Bibimbop!!! There are always some special programs on TV for New Year’s Day like Ssirum(씨름, Korean wrestling) or new movies. We only had one TV at our uncle’s house, and we didn’t have the Internet, so I REALLY didn’t like Ssirum(씨름) because that was my dad’s and uncles’ favorite TV program. 🙂

amzn_assoc_tracking_id = “funkorean4u08-20”; amzn_assoc_ad_mode = “manual”; amzn_assoc_ad_type = “smart”; amzn_assoc_marketplace = “amazon”; amzn_assoc_region = “US”; amzn_assoc_design = “enhanced_links”; amzn_assoc_asins = “B01I5HJSG6”; amzn_assoc_placement = “adunit”; amzn_assoc_linkid = “a504dd24d6de3f1b9a647efc6ff20fa9”;

After lunch, we usually go to my mom’s side of family. Very fortunately, my parents’ families live close enough, we could do this in one day. And on New Year’s Day, Seoul became a ghost city because a lot of people go to their hometown a day before. We do the same thing with my mom’s side of family, but my mom’s side of family loves singing, so we always have singing contest after dinner.

A day after New Year’s Day, my family usually took a hike on a mountain near my house, or I went shopping with my siblings and friends while everyone else rush back to their house from their hometown. The highway has huge traffic, so my family usually didn’t drive anywhere else a day after New Year’s Day. From Busan to Seoul, it usually takes 4 or 5 hours on a car, but on this day, it sometimes takes 15 hours!!!!

I don’t live in Korea anymore, so I really miss these memories. I am a terrible cook, but this year I made Dduckguk and egg battered fish for myself. I hope we all healthy and happy, Happy New Year to everyone!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으)ㄴ/는 척하다 pretend to

verb+는 척하다(present)
verb+(으)ㄴ 척하다(past)
adj+(으)ㄴ 척하다

-(으)ㄴ/는 척하다 is attached to a verb, it means ‘to pretend” or “act like(fake)”. Sometimes we say 는 체하다 instead of 척하다. For example,
자는 척하지 마. Don’t act like you are sleeping.
너 괜히 아픈 척하는 거지? You are pretending to be sick, right?
다 알면서 모르는 척하고 있어요. (she/he) is pretending not to know, even though (she/he) knows everything.
먹었으면서 안 먹은 척하고 있네. You are acting like you didn’t eat even though you ate.
나 안 좋아하면서 그 동안 좋아하는 척한 거였어? Did you pretend to like me even though you didn’t like me?
곰을 만났을 때 죽은 척하고 있으면 안 돼요. You shouldn’t pretend to be dead when you see a bear.

As you can see, (으)ㄴ 척하다 often comes with (으)면서 because (으)면서 means ‘have two opposite actions/situations at the same time”. If you want to learn more about (으)면서, please click here.

#체하다 #척하다 #는척하다 #는체하다 #는척 #척 #는체 #척하지마

[reading] 흥부와 놀부 -2 Heungbu and Nolbu -2

<이전 이야기 읽기 Click here to read previous story>

Tales from Korea_2013_06-1

어느 날, 흥부는 집 밖에 있는 나무에서 새 소리를 들었어요. 흥부가 보니까 큰 뱀이 새를 잡아 먹으려고 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흥부는 빗자루로 뱀을 때려서 쫓았어요. 그때 새 한 마리가 둥지에서 떨어져 다리를 크게 다쳤어요. 흥부는 새 다리를 치료해 주고 새를 돌봐 주었어요.

겨울이 되었어요. 새는 잘 커서 따뜻한 남쪽으로 날아갔어요.

다음 해 봄이 되었어요. 날씨가 아주 좋은 어느 날, 그 새가 다시 집에 찾아왔어요. 새는 씨 하나를 흥부에게 주었어요. 흥부와 흥부 가족은 씨를 심었어요. 씨는 아주 빨리 자라서 큰 호박이 되었어요. 흥부 가족은 큰 호박으로 음식을 만들기로 했어요. 흥부와 흥부의 아내는 호박을 자르기 시작했어요.

그런데 호박에서 쌀이 아주 많이 나왔어요. 다음 호박에서는 돈이 많이 나왔어요. 다음 호박에서는 큰 집이 나왔어요. 흥부 가족은 이제 부자가 되었어요!

<새 단어 New words>

소리: sound
듣다 in 들었어요: to listen, hear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ㄷ irregular)
A-(으)니까: found out something after doing A (Click here to learn more)
뱀: snake
잡아 먹다: to catch (to eat)
-(으)려고 하다: is going to, is about to (Click here to learn more)
-고 있다: action in progress, -ing (Click here to learn more)
빗자루: broom 
때리다: to beat, hit
쫓다: to kick someone out
둥지: bird’s nest
떨어지다: to fall down
다치다: to get injured 
크게 다치다: to get injured badly
치료하다: to cure, care, give some medical treatment
돌보다: to take care
아 주다: to do for someone (Click here to learn more)
따뜻하다: to be warm
(으)ㄴ: noun modifier for adjective (Click here to learn more)
남쪽: south
날아가다: to fly away
찾아오다: to visit to see someone
씨: seed
씨를 심다: to plant seeds
자라다: to grow 
호박: pumpkin, squash
-기로 하다: to plan to do, to decide to do (Click here to learn more)
자르다: to cut
-기 시작하다: to begin to do 
쌀: rice
돈: money
나오다: to come out
부자: rich person
-이/가 되다: to become

[reading] 흥부와 놀부-1 Heungbu and Nolbu-1

옛날 옛날에 놀부와 흥부가 살았어요. 놀부와 흥부는 형제였어요. 놀부가 형이고 흥부가 동생이에요. 어느 날, 놀부와 흥부의 아버지가 돌아가셨어요. 놀부는 아버지의 집과 돈을 모두 가지고 싶었어요. 그래서 놀부는 흥부의 가족을 모두 밖으로 쫓았어요.

흥부: “형님, 지금은 겨울이에요. 날씨가 너무 추워요.”
놀부; “나하고 상관없어!”

흥부 가족은 작은 집을 찾았어요. 집은 정말 추웠어요. 하지만 흥부 가족들은 행복했어요. 그런데 흥부는 돈이 없어서 쌀을 살 수 없었어요. 흥부 가족은 매일 배가 고팠어요. 그래서 흥부는 놀부를 찾아갔어요.

흥부: “형님, 쌀을 좀 빌려 주세요.”
놀부: “우리도 쌀이 없어”

그때 흥부는 부엌에서 밥 냄새를 맡았어요. 흥부는 부엌으로 갔어요. 놀부의 아내가 밥을 하고 있었어요.

흥부: “형수님, 밥 좀 주세요.”
놀부의 아내: “밥 없어요. 가세요”

놀부의 아내는 주걱으로 흥부의 왼쪽 얼굴을 때렸어요. 흥부의 얼굴에 밥이 조금 붙었어요. 흥부는 너무 기뻤어요.

흥부: “감사합니다. 오른쪽도 때려 주세요.”
흥부는 얼굴에 붙은 밥을 가지고 집에 갔어요.

<New words>

옛날 옛날에: once upon a time
놀부: Nolbu
흥부: Heungbu
형제: sibling (brothers)
어느 날: one day
돌아가시다: to pass away (honorific)
밖으로 쫓다: to kick someone out
-하고 상관없다: to be not related to
-어서 in 돈이 없어서: because—so—-(click here to learn more)
-(으)ㄹ 수 없다 in 살 수 없었어요: cannot (click here to learn more)
배가 고프다: to be hungry
찾아가다: to go to meet someone
빌리다: to lend/ borrow
-아/어 주세요: do something for someone(Click here to learn more)
냄새를 맡다: to smell
부엌: kitchen
아내: wife
밥을 하다: to cook rice/meal
형수님: a name for one’s sister-in-law of a man
주걱: rice paddle
때리다: to hit, beat
붙다: to stick
-(으)ㄴ in 붙은: a noun modifier(click here to learn more)

Feel free to reply if you have any questions! 

 

[Q&A] 이에요 vs 있어요

Many of my students are confused 이에요 and 있어요, so I am writing this post to make sure you understand 이에요 and 있어요.
이에요means “something/someone is/are/am a noun”. For example,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I am Korean.
(이 분이) 제 선생님이에요. This person is my teacher.
한국어 책이에요. It is a Korean book.
여기가 도서관이에요. Here is the library.
이게 제 가방이에요. This is my bag.

On the other hand, 있어요 has two different meanings. The first meaning is “have(possession)“, and the other one is “is/am/are at/in/on somewhere(existence)“. It is not just ‘is’, it means ‘is at/in/on somewhere(existence)‘.

Let’s look at some examples.
(저는) 한국 친구가 있어요. I have Korean friends. (possession)
시간이 많이 있어요. I have a lot of time. (possession)
앤디 씨는 가방이 많이 있어요. Andy has a lot of bags. (possession)
앤디 씨 집 가방이 많이 있어요. At Andy’s house, there are lots of bags. (existence)
미나 씨가 집에 있어요. Mina is at home. (existence)
마이크 씨가 한국에 있어요. Mike is in Korea. (existence)
제 집이 도서관 앞에 있어요. My house is in front of the library. (existence)
책상 책이 있어요. There is a book on the desk.(existence)
교실 옆 화장실이 있어요. There is a bathroom next to the classroom. (existence)

As you can see, when 있어요 means “be at some place“, 있어요 follows after “-에” which is a place particle.

Let’s look at these two sentences.
1. 여기가 도서관이에요. Here is the library.
2. 제 집이 도서관 앞에 있어요. My house is in front of the library.

In these two sentences, 이에요 and 있어요 are used with a noun(place), however, 이에요 means “is a noun” while 있어요 means “is at a place

Do you know what the opposite word of 이에요? It is 아니에요(is not a noun). You can learn 아니에요 by clicking here.

How about the opposite word for 있어요? It is 없어요. For more examples of -에 있어요/없어요 by clicking here. For more examples of 있어요(possession) by clicking here.

i.e)

[Reading] 신데렐라 Cinderella -1

옛날 옛날에 신데렐라라는 예쁘고 착한 아이가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살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신데렐라의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어요. 신데렐라는 무척 슬펐어요.

몇 년이 지난 후에 신데렐라의 아버지는 새어머니를 데려왔어요. 새어머니에게는 아주 못생기고 성격이 나쁜 두 딸이 있었어요. 두 딸과 새어머니는 신데렐라가 예뻐서 신데렐라를 아주 싫어했어요. 새어머니와 두 딸은 신데렐라에게 집안일을 모두 시켰어요. 신데렐라는 힘들었지만 열심히 일을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왕자님이 신데렐라의 마을에서 파티를 열었어요. 신데렐라의 새어머니와 두 딸은 제일 예쁜 옷을 입고 제일 좋은 신발을 신고 파티에 갔어요. 신데렐라도 가고 싶었지만 일을 해야 했어요.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New words>

옛날 옛날에 : once apon a time
-라는(-라고 하는) : that is called
예쁘(다) : to be pretty
-고 : and ( conjuction for verb and adjective)
착하(다) : to be nice, kind
-(으)ㄴ : noun modifier for adjective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함께 : together
(그러던) 어느 날 : one day
갑자기 : suddenly
돌아가시(다) : to die (for elders)
무척 : very
몇 년 : a few years
지나(다): to pass
-(으)ㄴ 후에 : after —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새어머니 : step mother
데려오(다) : to bring someone who is younger or the same age
 못생기(다): to be ugly
성격이 나쁘(다) :  to have bad personality
집안일 : house work
시키(다) : to order, to command
-았/었/했지만 : however, even though (conjunction)
열심히 일을 하(다) : to work hard
마을 : village
파티를 열(다) : to open a party
제일 : the most
-아/어/해야 하(다) : to have to, must

 

 

[Reading] 아기 돼지 삼형제 – Three little pigs

옛날 옛날에 엄마 돼지와 아기 돼지 삼형제가 있었어요. 어느 날, 엄마 돼지가 아기 돼지들에게 말했어요. “이제 너희도 다 컸으니까 나가서 너희 집을 짓고 살아.”

첫째 돼지는 지푸라기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모두 지푸라기로 지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첫째 돼지가 말했어요. “집 짓는 것은 정말 쉬워!”

둘째 돼지는 나무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모두 나무로 지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둘째 돼지가 말했어요. “집 짓는 것은 정말 쉬워!”

셋째 돼지는 벽돌로 집을 지었어요. 집을 짓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하지만 셋째 돼지는 포기하지 않고 튼튼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굴뚝도 벽돌로 만들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셋째 돼지는 맛있는 수프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그때, 한 늑대가 아기 돼지 집 근처로 왔어요. 늑대는 먼저 첫째 돼지 집으로 갔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후”하고 불었어요. 그러자 지푸라기 집이 날아갔어요. 첫째 돼지는 둘째 돼지 집으로 달려 갔어요.

그 다음에 늑대는 둘째 돼지 집으로 갔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후”하고 불었어요. 그러자 나무 집에 날아갔어요. 첫째 돼지와 둘째 돼지는 셋째 돼지 집으로 달려 갔어요.

드디어 늑대는 셋째 돼지 집에 도착했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늑대는 “후”하고 불었어요. 그런데 집이 날아가지 않았어요. 그래서 늑대는 다시 한번 “후”하고 불었어요. 그리고 또 “후”, “후”, “후”….

늑대는 너무 화가 나서 지붕 위로 올라갔어요. 늑대는 굴뚝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가려고 했어요. 돼지 삼형제는 뜨거운 수프를 벽난로로 옮겼어요. 늑대가 굴뚝으로 내려왔을 때 거기에는 뜨거운 수프가 있었어요. “앗, 뜨거워!”.

늑대는 꼬리가 너무 뜨거워 꼬리를 잡고 도망갔어요. 돼지 삼형제는 집 안에서 그 모습을 보고 크게 웃었어요.

돼지 삼형제 : three pig brothers
집을 짓다 : to build house
너희 : your(multiple)
지푸라기 : hay
지붕 : roof
벽 : wall
벽돌 : bricks
포기하다 : to give up 
튼튼하다 : to be sturdy, healthy 
굴뚝 : chimney 
수프  : soup
늑대 : wolf
날아가다 : to be blown away
달려 가다 : to run 
불다 : to blow
-을/를 통해 : through –
벽난로 : fire place
꼬리 : tail 
도망가다 : to run away 
크게 웃다 : to laugh hard

Verb/adjective conjugation

In this post, I am talking about how to conjugate verbs and adjectives from basic verb forms.

Every Korean verb/adjective ends with ‘— 다’, for example, 가다, 오다, 먹다, 살다, 마시다 etc. When you conjugate verbs/adjectives with endings, first you delete 다 and then add endings like the following below.

1

And then you have to look at an ending that you want to add. There are three types of endings. The first type is  -아/어/여 ending. For -아/어/여 ending, you have to look at the previous letter’s vowel.

If the vowel is ㅏor ㅗ, then you have to add -아. For example, -아요(present), -았어요(past), -아서(because) etc.

If the vowel is other than ㅏ or ㅗ, you have to add -어. For example, -어요(present), -었어요(past), -어서(because) etc.

If the previous letter ends with ‘하’, you have to add -여. But it changes the form into ‘해’ in conversations. For example, -여요=>해요(present), -였어요=> 했어요(past), -여서=> 해서(because).

 

The second type is that endings start with -(으) or (스), for example, (으)ㄹ 거예요, (으)ㄹ 수 있어요, -(스)ㅂ니다 etc. In this case, you have to look at whether the previous letter ends with a vowel or a consonant.

If the letter ends with a vowel, you do not use 으 or 스. For example, 가+ㅂ니다 => 갑니다, 자+ㄹ 거예요 => 잘 거예요.

If the letter ends with a consonant, you have to use 으  or 스.  For example, 먹+습니다 => 먹습니다, 읽+습니다 => 읽습니다.

3

Finally, the third type is that endings start with a consonant. For example, -고, -지, -게 etc. For these endings, you can just simply attach them to a verb/adjective.
가+고 싶어요 => 가고 싶어요,  먹+지 않아요 => 먹지 않아요.

 

Please reply to this post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conjugation.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