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건강의 중요성

우리는 무엇을 잃기 전에는 그것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특히 건강은 가장 중요하지만 우리가 잘 지키지 못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

얼마 전부터 오른쪽 어깨에 작은 통증이 있었다. 잠을 자고 일어나면 조금씩 쑤셨고 팔을 들어 올리는 것이 좀 불편했다. 그 당시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아 곧 낫겠지 했는데 통증은 점점 더 심해져 팔을 올릴 수 없을 정도가 되어 병원을 찾았다. 그리고 나는 ‘오십견’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오십견은 50세 정도에 잘 걸린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으로 여성들이 많이 걸린다고 한다. 나는 50세가 되지도 않았는데 왜 오십견에 걸렸는지 궁금했다. 의사 선생님은 요즘은 젊은 사람들도 스마트폰을 항상 들고 고개를 숙여 보기 때문에 어깨가 금방 상한다고 하셨다.

그제서야 나는 그 동안 아무 생각없이 장시간 핸드폰을 사용한 것이 생각났다. 이렇게 아플 줄 알았다면 자세에 조금 더 신경을 쓸걸 하는 아쉬움이 들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요즘은 거의 매일 재활치료를 하고 좋은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어깨가 다 나으면 근육을 키우기 위한 운동도 꾸준히 할 생각이다.

건강은 잃기 전에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깊이 깨달았다.

 

단어>

소중함: preciousness, importance 
통증: pain
쑤시다: to be sore
들어올리다: to lift
겠지 하다: to think/guess it will
-() 정도가 되다: to end up 
진단을 받다: to get diagnosed 
오십견: frozen shoulder
이름이 지어지다: to be named
는지 궁금하다: to be curious why/when/what/how/who
고개를 숙이다: to lower head
/ 상하다: to be rotten, to be hurt
그제서야: just realized, began 
아무 생각 없이: without thinking 
장시간: for a long time 
았다면을걸: I wish…. (regret) 
아쉬움이 들다: have regrets
재활치료: physical therapy 
좋은 자세를 유지하다: to maintain good posture 
-()려고 노력하다: to try in order to 
/ 낫다 in 어깨가 나으면: to get better
근육을 키우다: to build muscle 
꾸준히: continuously 
깊이 깨닫다: to understand truly, to realize 

[Expression] I like your hat!

In English, people often say “I like your hat!” or “I like your shoes!” if someone is wearing a cool hat or nice shoes. You shouldn’t translate it as “그 모자 좋아해요!” or “신발 좋아해요!” into Korean because “I like your hat!” doesn’t mean “I LIKE it”, it actually means “Your hat is nice.”

If you say “모자/신발 좋아해요” in Korean, it means “I like it” such as “I like apples” or “I like ice cream.”. Therefore you have to say “모자가 멋있어요.(The hat is cool)” or “신발이 예뻐요(The shoes are pretty)” or “모자가 어울려요(The hat fits you very well).”

New words>

모자: hat
신발: shoes
좋아하(): to like
멋있(): to be cool, awesome
예쁘(): to be pretty
어울리(): to fit well, match well
//여요: a sentence ending for present tense

-는 김에 with the opportunity of doing

A는 김에 B

means ‘doing B with the opportunity of doing A“, and it is often translated as ‘while’ or ‘since’ in English. -는 김에 is usually used with 가다/오다 verbs but not all the time.

The present tense conjugation is -는 김에 and the past tense is -(으)ㄴ 김에. For example,

부산에 가는 김에 부산에 사는 친구도 만날 거예요. (I am going to Busan, with this opportunity, I am going to meet a friend who lives in Busan.)

우체국에 가는 김에 이 편지도 좀 보내 주세요. (You are going to the post office, with the opportunity, please send this letter too.)

너 세탁소 가는 김에 내 옷도 좀 맡겨 주면 안 될까? (Since you are going to the laundry shop, could you please take mine too?)

부모님 선물 사는 김에 동생 것도 하나 주문하려고요. (Since I am buying a gift for my parents, I am also going to order one for my sister.)

명동에 온 김에 우리 쇼핑이나 하고 갈까요? (Since we are in Myoungdong, shall we go shopping too?)

이렇게 오신 김에 차라도 한 잔 하고 가세요. (Since you are already here, please have a cup of tea.)

 

너 새 신발 사는 김에 내 것도 하나 사 줘!!!!! (Since you are shopping, buy mine too!!!!)  ㅋㅋ

[Reading] 청개구리 tree frog-2

엄마는 청개구리한테 강가에 묻으라고 하면 산에 묻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청개구리는 항상 반대로만 행동했으니까요. 청개구리는 엄마가 돌아가신 후에 크게 뉘우쳤어요. 그 동안 엄마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엄마의 유언을 따르기로 했어요. 그래서 엄마를 산이 아닌 강가에 묻었어요. 그리고 비가 오면 엄마의 무덤이 떠내려갈까 봐 강가에서 울었어요. 그래서 지금도 비가 오면 개구리가 운다고 해요.

그리고 부모님의 말씀을 안 듣는 사람을 “청개구리”라고 부르게 되었어요.

<New words>

행동하다: to act, behave
돌아가시다: to pass away (for elders)
뉘우치다: to regret
후회하다: to regret
유언을 따르다: to follow a will 
무덤: tomb
떠내려가다: to be washed away
-다고 하다: indirect speech for statement(click here to learn more)
말씀 : the honorific form for 말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Reading] 빨간 모자-1 Little red riding hood-1

옛날 옛날에 빨간 모자 망토를 좋아하는 아이가 있었어요. 사람들은 그 아이를 빨간 모자라고 불렀어요. 어느 날, 어머니가 빨간 모자에게 할머니께 음식을 갖다 드리라고 했어요. 어머니는 바구니를 주시면서 “숲에서 모르는 사람하고 절대 이야기하면 안 된다.”라고 말씀하셨어요.

빨간 모자가 할머니 집으로 가려고 숲으로 들어왔을 때 늑대가 빨간 모자를 봤어요. 늑대는 너무 배가 고파서 빨간 모자를 잡아 먹고 싶었어요. 늑대는 빨간 모자에게 말을 걸었어요. “빨간 모자야, 어디에 가니?”. 빨간 모자가 대답했어요. “할머니 댁에 음식을 갖다 드리러 가요.”

늑대는 빨간 모자가 도착하기 전에 할머니 집으로 갔어요. 늑대는 할머니를 옷장에 가둔 후에 할머니 옷을 입고 할머니 침대에 누웠어요.

New words>
빨간 모자: red hat
망토 : cape
-라고 부르다: called as –
갖다 드리다: honorific form for 갖다 주다 which means bring something for someone
-라고 하다: indirect speech for statement (click here to learn more)
바구니: basket
-(으)면서: while (click here to learn more)
숲: forest
절대: never
-(으)면 안 되다: shouldn’t (click here to learn more)
말씀하시다: honorific form for 말하다(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honorific)
-(으)려고 in 가려고: in order to (click here to learn more)
잡아 먹다: to catch and eat (for animals)
말을 걸다: to initiate a conversation
댁 : honorific form for 집 which means house
-(으)러 가다:  to go to do (click here to learn more)
도착하다: to arrive
-기 전에: before doing (click here to learn more)
옷장: closet
가두다: to lock up
눕다: to lay down (ㅂ irregualr :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ㅂ irregular)

 

[Reading] 신데렐라 Cinderella -2

그 때, 요정이 나타나서 신데렐라에게 예쁜 옷과 유리 구두를 선물로 주었어요. 그리고 말했어요. “12시까지 집에 돌아와야 해요. 12시가 지나면 옷과 구두가 사라질 거예요.”

신데렐라는 예쁜 옷을 입고 유리 구두를 신고 파티에 갔어요. 왕자님은 신데렐라를 보자마자 신데렐라를 좋아하게 되었어요. 하지만 12시가 되어서 신데렐라는 집으로 돌아가야 했어요. 신데렐라가 파티장에서 떠날 때 유리 구두 하나가 벗겨졌지만 시간이 없어서 주울 수 없었어요.

왕자님은 구두의 주인을 찾고 싶었어요. 그래서 마을 사람들 모두에게 구두의 주인과 결혼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새어머니와 두 딸은 왕자님에게 그 구두가 자기의 것이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새어머니와 두 딸의 발은 너무 커서 구두가 맞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신데렐라가 구두를 신었어요. 그 구두는 신데렐라의 발에 꼭 맞았어요. 왕자님은 신데렐라를 찾아서 아주 행복했어요.

왕자님과 신데렐라는 결혼해서 아주 아주 행복하게 살았어요.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New words>
요정: elf, fairy

나타나다: to appear
-과: and (formal)
유리: glass
-을/를 선물로 주다: to give something as a gift
-아/어/해야 해요(돼요): to have to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지나다: to pass
-(으)면: if
사라지다: to disappear
자마자: as soon as
verb+게 되다: to become verb
파티장: party hall
에서 떠나다: to leave somewhere
벗겨지다: to be taken off (shoes, clothes)
줍다  in 주울 수 없었어요: to pick somethig up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ㅂirregular)
주인: owner
모두: everyone (this can be noun or adverb)
-다고 말하다: to say, tell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indirect speech)
자기: oneself
-의: of (it means possesion)
것: thing
맞다: to fit, match
-지 않다: the long negation = 안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마지막으로: finally, at last
행복하+게: happily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adjectvie+게)

 

[Reading] 신데렐라 Cinderella -1

옛날 옛날에 신데렐라라는 예쁘고 착한 아이가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살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신데렐라의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어요. 신데렐라는 무척 슬펐어요.

몇 년이 지난 후에 신데렐라의 아버지는 새어머니를 데려왔어요. 새어머니에게는 아주 못생기고 성격이 나쁜 두 딸이 있었어요. 두 딸과 새어머니는 신데렐라가 예뻐서 신데렐라를 아주 싫어했어요. 새어머니와 두 딸은 신데렐라에게 집안일을 모두 시켰어요. 신데렐라는 힘들었지만 열심히 일을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왕자님이 신데렐라의 마을에서 파티를 열었어요. 신데렐라의 새어머니와 두 딸은 제일 예쁜 옷을 입고 제일 좋은 신발을 신고 파티에 갔어요. 신데렐라도 가고 싶었지만 일을 해야 했어요.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New words>

옛날 옛날에 : once apon a time
-라는(-라고 하는) : that is called
예쁘(다) : to be pretty
-고 : and ( conjuction for verb and adjective)
착하(다) : to be nice, kind
-(으)ㄴ : noun modifier for adjective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함께 : together
(그러던) 어느 날 : one day
갑자기 : suddenly
돌아가시(다) : to die (for elders)
무척 : very
몇 년 : a few years
지나(다): to pass
-(으)ㄴ 후에 : after —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새어머니 : step mother
데려오(다) : to bring someone who is younger or the same age
 못생기(다): to be ugly
성격이 나쁘(다) :  to have bad personality
집안일 : house work
시키(다) : to order, to command
-았/었/했지만 : however, even though (conjunction)
열심히 일을 하(다) : to work hard
마을 : village
파티를 열(다) : to open a party
제일 : the most
-아/어/해야 하(다) : to have to, must

 

 

[Reading] 대통령 선거 Presidential election

오늘은 대통령 선거 날이에요.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집 근처 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고 왔어요. 아침에 일찍 갔는데도 투표소에는 사람들이 아주 많았어요. 줄을 서서 기다리는 동안 대통령 후보들에 대해서 사람들과 이야기했어요. 투표를 하고 나오니까 기다리는 사람들이 더 많았어요. 일찍 나오기를 잘했다고 생각했어요. 그동안 사람들이 하루 종일 선거에 대해서 얘기해서 좀 지겨웠어요. 드디어 오늘 끝나는구나 하고 생각하니 속이 다 시원해요.

저는 투표를 하는 것은 국민으로서 기본적인 권리라고 생각해요. 투표를 한 후에야 비로소 국가의 정책이나 정치인의 잘못을 비판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정치는 사실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생활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요. 우리가 물건을 사고 병원에 가고 교육을 받는 모든 일이 정치와 관련되어 있어요. 그래서 투표할 나이가 되면 누구나 투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투표를 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대통령: president
선거: election
통령 거 => 대선 
투표소: vote place 
투표를 하다 : to vote
줄을 서다 : to stand in line
후보 : candidate
-다고 생각하다: to think that
하루 종일 : all day
지겹다: to be sick and tired of 
드디어: finally
-(으)니(까): becasue-
속이 시원하다: to be relieved 
국민: citizen  
기본적이다: to be fundamental
권리: rights
A야 비로소 : not until A  that 
국가: country
정책: policy 
정치인: politician
비판하다: to criticize 
정치: politics
생활: life, living
밀접하다: to be close / intimate
연결되다: to be connected 
관련되다: to be related
의견: opinion
표현하다: to express
-았/었/였으면 좋겠다: to hope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day will be on Wednesday, Dec 20th in 2017 and it is a day off.  

Do you need a Korean teach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좋은 and 좋아요?

좋은 and 좋아요 both mean ‘good’ however uses are different. A basic form of 좋은 and 좋아요 is 좋다. All of basic form for verb and adjective in Korean ends with -다. When you make a conversation, you should delete -다 and then add some endings such as -아요 or 았어요.

좋은 is 좋다 + 은 which is a modifier. It modifies nouns. For example, 좋은  사람, 좋은 책, 좋은 영화. Therefore 좋은 needs a noun after that, so  좋은이에요 or 좋은 있습니다 are wrong.  So do other verbs and adjectives. You can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은.

On the other hand, 좋아요 is 좋다 + 아요 which is a present/polite ending. For example, 한국이 좋아요 or 날씨가 좋아요. You can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