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Chuseok – Korean Thanksgiving

003
image courtesy of http://m.post.naver.com/my.nhn?memberNo=10005291

추석(Chuseo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olidays for Korean along with 설날(Seollal). The word Chuseok means ‘a Fall night’ which expresses ‘A day that has the brightest moon in  Fall’. Chuseok is derived from Chinese letters, and the Korean word for Chuseok is 한가위(Han-gahWe). Han-gahwe means ‘The center of the month’ because Han-gahwe is August 15th on the Lunar Calendar. It is Korean Thanksgiving.

It is a national holiday which everyone take 3 days off. The holiday starts a day before Han-gahwe and ends a day after Han-gahwe because families have to prepare food for a ceremony in early morning on the holiday.

For food, they make a special rice cake for this holiday which is called 송편(Songpyoun). Songpyoun is a rice cake that is steamed with pine leaves, and it looks like a half moon(반달). Why does it look like a half moon even thought they celebrate for a full moon? Old Koreans hoped their lives would be filled with happiness like a full moon(보름달) from the half moon after the holiday, not like the full moon becomes smaller after the holiday.

At night, Koreans pray to a full moon for their happiness and health and appreciate mother nature for food. In the past, women went out with their female family members or neighbors dancing a special dance and singing for Han-gahwe. It is called 강강술래(Gahng Gahng Soollae).

<강강술래(Gahng Gahng Soollae) dance
image courtesy of  http://www.k-heritage.tv/main/heritage&gt;

 

If you have Korean friends, tell them “Happy Chuseok!”.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Words for Chuseok>

추석 Chuseok
한가위 Han-gahwe
송편 Songpyoun
보름달 full moon
반달  half moon
강강술래 (Gahng-Gahng Soollae)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Happy Chuseok!
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Happy Han-gahwe!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s by clicking here. 

[Grammar] -아/어/여 보이다 to look

adjective+아/어/여 보이다

 

means ‘(something/someone) looks’, to describe something or someone’s appearance.

For example,

아 보여요. (someone/something) looks good.

맛있어 보여요. (something) looks delicious.

피곤해 보여요. (someone) looks tired.

파 보여요. (someone) looks sick. (click here to learn 으 irregular verbs)

싸 보여요. (something) looks expensive. (click here to learn 으 irregular verbs)

워 보여요. (someone) looks cold. (click here to learn ㅂ irregular verbs)

라 보여요. (someone/something) looks different.  (click here to learn 르 irregular verbs)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Grammar] -(으)ㄹ까 봐

Verb/adjective+(으)ㄹ까 봐

means ‘be afraid of/that’, it is a short form for -(으)ㄹ까 봐(서) which is ‘because (someone) is afraid of/that’. It often comes with ‘걱정이다’, ‘걱정이 되다’or ‘걱정하다’. For example,

비가 너무 많이 올까 봐 걱정이에요.  I am afraid that it will rain too much.

우리 아들이 나를 닮을까 봐 걱정이에요.  I am afraid that my son is going to resemble me.

발표할 때 한국어를 틀릴까 봐 걱정이에요. I am afraid that I will make mistakes in Korean on the presentation.

아이가 길을 잃어버릴 까 봐 걱정이 됐어요.  I am afraid that my kid will get lost.

늦을까 봐 걱정이 돼서 일찍 출발했어요.  I am afraid that I will be late, so I left early.

남자 친구가 기분 나쁠까 봐 걱정하고 있어요.  I am afraid that my boyfriend will be offended.

아빠한테 혼날까 봐 말을 할 수 없어요.  I am afraid that I get scolded by my dad, so I can’t tell him.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Reading] Korean money 한국 돈

Korean money 한국 돈

10552517_1512113399023748_5990950412237924065_n

 

한국의 돈(화폐)

한국의 돈은 동전과 지폐가 있습니다. 한국의 돈 중에 가장 작은 것은 1원이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모든 동전과 지폐에는 그림이 있습니다.

10원 현재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앞면에는 경주의 유명한 다보탑이 있습니다.
50원 농업을 상징하는 벼가 있습니다.
100원 조선시대의 장군인 이순신 장군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일본과의 전쟁 때 거북선을 발명하고 전쟁 기록을 자세하게 남긴 용감한 인물입니다.
500원 장수를 상징하는 학이 있습니다.
1,000원(지폐) 1000원의 앞면에는 조선시대의 학자 이황의 얼굴이 있고 뒷면에는 이황이 학생들을 가르쳤던 곳의 그림이 있습니다.
5,000원(지폐) 5000원의 앞면에는 조선시대의 학자 이이와 그가 연구했던 곳의 그림이 있습니다.
10,000원(지폐)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 있습니다.  2009년 전에는 10,000원이 가장 높은 가치였습니다.
50,000원(지폐) 2009년에 처음 나왔으며 5000원짜리에 있는 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있습니다.

 

단어와 문법>

동전: coin
지폐: bill
가장: the most (=제일)
사용하다: to use
-지 않다: not (click here to learn more)
모든+noun: all noun
현재: now, present
단위: unit
앞면: front side
경주: Gyeong Ju
다보탑: Dabo tower
농업: agriculture
상징하다: to symbolize
벼: rice
조선시대: Joseon Dynasty
장군: general
이순신: Lee Soon Shin
일본: Japan
전쟁: war
거북선: The turtle battle ship
발명하다: to invent
기록: record
자세하다: be detailed
남기다: to leave something
용감하다: be brave
인물: person
장수: longevity
학: crane
학자: scholar
이 황: Lee Hwang
-던: reminiscing ending (click here to learn more)
얼굴: face
이 이: Lee Yi
연구하다: to research
한글: Hangeul
세종대왕: King Sejong Great
가치: value
-원짜리: worth, value
신사임당: Shinsa Yimdahng (Lee Yi’s mother)

 

 

[Reading] 떡 하나만 주면 안 잡아 먹을게요.-Korean kids story

옛날 옛날에 엄마와 아들, 딸이 한 집에 살고 있었습니다. 엄마는 매일 먼 곳으로 일을 하러 갔습니다. 엄마의 일은 다른 집 잔치를 도와 주는 일이었습니다. 어느 날 엄마는 잔칫집에서 남은 음식을 들고 밤늦게 집에 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집에 오는 길에 산 속에서 호랑이를 만났습니다.

호랑이가 말했습니다. “떡 하나만 주면 안 잡아 먹을게요.”
엄마는 떡을 하나 주었습니다. 다음 길에서 호랑이가 또 나타났습니다. “떡 하나만 주면 안 잡아 먹을게요.” 엄마는 또 떡을 주었습니다. 다음 길에서도, 그 다음 길에서 호랑이는 엄마에게 떡을 달라고 했습니다. 나중에 호랑이는 엄마에게 떡이 없는 것을 알고 엄마도 잡아 먹었습니다. 그런데 호랑이는 계속 배가 고팠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있는 집으로 갔습니다.

호랑이는 문 앞에서 엄마인 척하면서 아이들에게 이야기했습니다. “얘들아, 엄마 왔다. 문 열어.” 아들과 딸은 엄마의 목소리가 이상해서 문을 열지 않고 말했습니다. “우리 엄마는 목소리가 아주 예뻐요.” 호랑이는 참기름을 조금 마신 후에 예쁜 목소리를 냈습니다. “얘들아, 엄마 왔다. 문 열어.” 아들과 딸은 문 사이로 호랑이의 모습을 봤습니다. 그리고 호랑이의 손을 보고 말했습니다. “우리 엄마의 손은 아주 하얗고 예뻐요.” 호랑이는 밀가루를 손에 바르고 말했습니다. “엄마가 일을 많이 해서 그래.”

아들과 딸은 호랑이가 엄마라고 생각하고 문을 열었습니다. 그런데 문을 열자마자 호랑이가 집에 들어왔습니다. 아들과 딸은 호랑이를 보고  뒷문으로 도망친 후에 큰 나무로 올라갔습니다.

호랑이는 아이들을 쫓아와서 물어봤습니다. “거기에 어떻게 올라갔니?” 아이들이 말했습니다. “손에 참기름을 발랐어요.” 호랑이는 손에 참기름을 바르고 나무에 올라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너무 미끄러워서 올라갈 수 없었습니다. 아이들은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우리는 도끼를 썼는데.” 호랑이는 그 말을 듣고 도끼로 나무를 찍고 올라갔습니다.

호랑이가 올라오는 것을 보고 아이들은 너무 무서워서 하늘에 기도했습니다. “저희를 살려주세요. 튼튼한 줄을 내려 주세요.” 말이 끝나자마자 하늘에서 튼튼한 줄이 내려왔습니다. 아이들은 그 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습니다. 호랑이도 말했습니다. “저를 살려 주세요. 튼튼한 줄을 내려 주세요.” 말이 끝나자마자 하늘에서 줄이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그 줄은 썩은 줄이었습니다. 썩은 줄을 잡은 호랑이는 나무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아이들은 하늘로 올라가서 아들은 해가 되었고 딸은 달이 되어서 지금도 우리를 비추고 있습니다.

 

단어와 문법>

아들:son
: daughter
잔치 : party
잔칫집: the house that has a party
남다 : to be left over
밤늦게: late night
호랑이: tiger
: rice cake
잡아 먹다: to eat
나타나다 :to appear
달라고 하다: say “give me”
-(으)ㄴ/는 척하다: to pretend to
얘들아:a short form for 아이들아
목소리:voice
참기름:sesame oil
목소리를 내다 : to speak out
모습:shape
하얗다: be white
밀가루: flour
-다고/라고 생각하다:to think that
-자마자: as soon as
뒷문:back door
도망치다: to run away
쫓아오다: to chase
바르다: to put something on skin
미끄럽다: be slippery
-(으)면서: while
도끼 : ax
찍다 : to poke
기도하다:to pray
저희: a plural for our or us
살려주다: to save
튼튼하다: be sturdy, be healthy
: rope
타다: to ride
하늘: sky
썩다 : be rotten
잡다: to grab, catch
떨어지다: to fall down
: Sun
: Moon

여기를 클릭하면 오디오 파일을 들을 수 있습니다. 

 

[Reading] 한국 반찬 Korean side dish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 반찬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해요. 여러분, 무슨 한국 반찬을 알고 있나요?

한국에서 밥을 먹을 때는 밥과 몇 가지 반찬을 같이 먹어요. 그 중에서 제일 중요한 반찬은 김치예요. 김치는 배추김치, 깍두기, 오이김치처럼 종류도 많이 있어서 두 세 가지를 같이 먹을 때도 있어요. 밥과 김치는 제일 좋은 친구지만 만드는 게 정말 힘들고 복잡해서 저는 슈퍼에서 사서 먹어요.

한국 사람이 자주 먹는 반찬 중에는 김도 있어요. 옛날에 제 할머니께서는 ‘김은 밥 도둑이다’라고 하셨는데 정말 맞는 것 같아요. 저는 가끔 김만 있어도 밥을 다 먹을 수 있어요. 김은 쉽게 구할 수 있고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한국 사람 집에는 항상 김이 있어요.

채소로 만든 반찬은 나물이라고 하는데요. 나물 반찬을 밥에 모두 넣고 고추장을 한 숟가락 넣으면 비빔밥이 돼요. 여러분, 한국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밤에 비빔밥을 만들어서 먹는 걸 본 적이 있죠? 여러분도 집에 남은 반찬이 있다면 밥에 넣고 비빔밥을 만들어 보세요. 아주 맛있을 거예요!

 

단어와 문법>

-(으)려고 하다 : to be going to (click here to learn more)
반찬 : side dish
중요하다: to be important
배추김치: cabbage Kimchi
깍두기: radish Kimchi
오이김치: cucumber Kimchi
-처럼: like, as
종류: kind
복잡하다: to be complicate
사서 먹다 : buy and eat
도둑: thief
-기 때문에: because
채소: vegetable
나물: vegetable side dish
넣다: to put in
주인공: to main character
남다: to be left
-다면 : if
-아/어/여 보세요 : you should try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 

[Grammar]-은지/는지/을지 if, whether

-는지 is used for combining a question sentence and another sentence into one sentence.

For example,

지금 밖에 비가 와요?  몰라요.  (Is it raining outside? I don’t know.)
지금 밖에 비가 오는지 몰라요. (I don’t know if it is raining outside now.)

A question sentence often has a question word like 언제when, 어디where, 몇how many, 얼마how much, 누구who, 어떻게how, 뭐what, 무슨what kind of, 얼마나how long.

For example,

지금 예요? 알아요? (What time is it? Do you know?)
지금 인지 알아요?  (Do you know what time it is?)

The conjugation is

adjective +(으)ㄴ지 
verb(present),있다/없다 +는지
verb(past)+았/었/였는지
verb/adjective(future/guess) +(으)ㄹ지
noun+(이)ㄴ지

Let’s practice more.

틀린 곳이 있어요? 확인해 보세요. => 틀린 곳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선호가 어제 집에 왔어요? 봤어요? => 어제 선호가 집에 왔는지 봤어요?
이 옷이 잘 맞을까요? 잘 모르겠어요. => 이 옷이 잘 맞을지 모르겠어요.
오늘이 며칠이에요? 알고 싶어요? => 오늘이 며칠인지 알고 싶어요?
어제 제가 무슨 영화를 봤어요? 알아요? => 어제 제가 무슨 영화를 봤는지 알아요?
서울에서 부산까지 얼마나 걸려요? 알아요? => 서울에서 부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알아요?
경주가 어디에 있어요? 몰라요. => 경주가 어디에 있는지 몰라요.
불고기를 어떻게 만들어요? 가르쳐 주세요. => 불고기를 어떻게 만드는지 가르쳐 주세요.
밖에 누가 왔어요? 한번 보세요. => 밖에 누가 왔는지 한번 보세요.
집에 몇 시에 올 거예요? 알려 주세요. => 집에 몇 시에 올지 알려 주세요.
가격이 얼마일까요? 알려 주세요. => 가격이 얼마인지 알려 주세요.

Usually, a question word+(이)ㄴ지 can be shortened like below.

어디인지 => 어딘지
누구인지=> 누구인지
뭐인지 => 뭔지
언제인지=> 언젠지
얼마인지=> 얼만지
왜인지 => 왠지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and translation by clicking here.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and more

There are several ways to say thank you in Korean. 감사합니다 is the most polite way and formal way to say ‘Thank you’. 고맙습니다is a little less formal but still polite. 고마워요 is a friendly way to say, so you can use this to a person who are close to you, but not the same age friend. 고마워 is used between friends who are the same age or to a person who is younger than you.

 

For saying sorry, there are also many ways to say. 죄송합니다 is the most polite and formal way to say ‘I am so sorry’, it is usually to an old person or bosses. 미안합니다 is less formal than 죄송합니다, but it is still polite. 미안해요 is the most common because it is a friendly way to say ‘I am sorry’. You can use this to your generation, but not to elders. Between friends who are the same age, you can say 미안해 which is very casual.

 

There is one more thing I want to add in this post, which is “Happy birthday!”. It is 생일 축하합니다 or 생일 축하해요 생일 means ‘birthday’ and 축하합니다/축하해요 mean ‘Congratulations’.

The birthday song in Korean is

생일 축하합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사랑하는 ㅇㅇㅇ(name), 생일 축하합니다. 

You can sing this song for your Korean friends! You can click a link below to listen to the full song.
http://jr.naver.com/s/love_song/view?contentsNo=21145

[Reading] 공원에 가는 것을 좋아해요.

This is a reading material to practice for ‘verb 는 noun’, if you have not studied ‘verb 는 noun’, please click here study first.

저는 공원에 가는 것을 좋아해요. 집에서 쉬는 것도 좋아하지만 시간이 있을 때 공원에 자주 가요.  공원에는 요가하는 사람, 자전거 타는 사람, 친구들하고 이야기하는 사람축구하는 사람쉬는 사람, 책 읽는 사람들이 많이 와요. 저는 공원에 가서 책도 읽고 산책도 해요.

어제는 공원에서 한국에서 온 친구를 만났어요. 저는 그 친구를 10년 전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친구는 10년 전에 제가 선물로 준 시계를 차고 있었어요. 우리는 예전에 같이 여행한 곳하고 같이 본 영화, 같이 만든 노래에 대해서 이야기했어요.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서 정말 즐거웠어요.

저는 오늘도 공원에 왔어요. 오늘은 기타를 치는 사람을 봤어요. 그 옆에는 노래하는 사람도 있었어요. 노래하는 사람이 제가 좋아하는 노래를 불렀어요. 기타도 정말 잘 치고 노래도 정말 잘해서 오랫동안 들었어요. 오후에는 공원에 푸드트럭이 왔어요. 멕시코 음식을 파는 사람이 와서 멕시코 음식을 먹었어요. 멕시코 음식은 제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에요.

내일 제가 만날 사람은 제 어머니예요. 제 어머니는 지금 LA에 사세요. 제 어머니가 도착하실 시간에 저는 공항에 마중 나갈 거예요. 그리고 어머니하고 내일 저녁에 공원에서 영화를 볼 거예요. 매주 주말 저녁에 공원에서 야외 영화를 해요. 내일 우리가 볼 영화는 스타워즈예요. 영화 표는 무료예요. 그런데 사람이 항상 많아서 우리가 앉을 자리를 예약해야 돼요.

 

단어와 문법>

Verb 는 것 : verb-ing : gerund in English (click here to study)
Verb (으)ㄴ + noun : a modifier for verb past tense (click here to study)
Verb 는 + noun : a modifier for verb present tense (click here to study)
Verb (으)f + noun : a modifier for verb future tense (click here to study)
쉬다 : to rest
-지만 : however, although
-(으)ㄹ 때 : when
자주 : often
요가하다 : to do yoga
자전거를 타다 : to ride a bike
이야기하다 : to talk
축구하다 : to play soccer
산책을 하다 : to take a walk, to stroll
샌프란시스코 : San Francisco
처음 : for the first time
선물로 주다 : to give something as a gift
시계를 차다 : to wear a watch
-고 있다 : action in progress (click here to study)
— 곳 : — place
noun 에 대해(서) verb : do somthing about noun  (noun에 대한 noun)
오랜만에 : have not done something for a while and did again
즐겁다 :  to be joyful, to be fun
기타를 치다 : to play guitar
오랫동안 : for a long time
푸드 트럭 : food truck
멕시코 : Mexico
팔다 : to sell (파는 사람 : ㄹ drop, click here to study ㄹ drop)
도착하다 : to arrive
공항 : airport
마중 나가다 : to pick up someone visiting
야외 : outdoor
영화를 하다 : to show movies
스타워즈 : Starwars
무료 : for free
앉다 : to sit
예약하다 : to reserve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