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appy New Year!

For Koreans, Lunar New Year is the biggest holiday of the year. For Lunar New Year, we take three days off to see family and relatives. The holiday begins a day before Seollal(설날 New Year’s Day) and ends a day after New Year’s Day. A day before New Year’s Day, we go to our oldest uncle’s house(father side) where usually is held a ceremonial event. On this day, we make tons of food for the ceremony like Namool(vegetable side dishes), Mandoo(dumplings), Dduckguk(rice cake soup) and many more. All of this food is served on a big table in early morning of New Year’s Day for a traditional ceremony.

This ceremony is for our ancestors. In early morning on New Year’s Day, we write our ancestors names on a piece of paper and put it on the table as well as the food. And we bow to our ancestors to appreciate what they did for us. After the ceremony, we can have the delicious food for breakfast!!!!!!

Dduckguk is the most important food on New Year’s Day. Dduck(떡) is rice paste and guk(국) is soup. The rice paste for Dduckguk originally looks like a long tube, and we call it Gah-rae Dduck(가래떡). We slice 가래떡 into thin pieces to make the soup. Because 가래떡 is long and white, Dduckguk(떡국) represents longevity and pureness. Thus, we say that we get one year older after eating one bowl of Dduckguk for breakfast on New Year’s Day. (I wanted to stop eating Dduckguk after I turned 20. Haha!)

After the big breakfast, children give their parents, uncles, aunts and grandparents New Year’s bow(Sebe세배). When we give older generation Sebe, we say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ope you have a lot of luck on new year). And older generation give them hopeful wishes and pretty silk pockets (Bok Joomoney 복주머니). As you can guess, there is money inside of the Bok Joomoney. We call this money as Sebetdon(세뱃돈). When I was a kid, I gave all of this money to my mom because my mom said that she will keep the money for my future. I haven’t seen that money since then, but I guess it is already in my stomach as food. 🙂

In the afternoon, we play Yootnori(윷놀이) which is a traditional game with four wooden sticks. It is very simple, and all of the family can play together, so I really liked it when I was a kid. For lunch, we put all the vegetable side dishes in a big bowl together with Gochujang(고추장), make Bibimbop(비빔밥). I really miss my aunts Bibimbop!!! There are always some special programs on TV for New Year’s Day like Ssirum(씨름, Korean wrestling) or new movies. We only had one TV at our uncle’s house, and we didn’t have the Internet, so I REALLY didn’t like Ssirum(씨름) because that was my dad’s and uncles’ favorite TV program. 🙂

amzn_assoc_tracking_id = “funkorean4u08-20”; amzn_assoc_ad_mode = “manual”; amzn_assoc_ad_type = “smart”; amzn_assoc_marketplace = “amazon”; amzn_assoc_region = “US”; amzn_assoc_design = “enhanced_links”; amzn_assoc_asins = “B01I5HJSG6”; amzn_assoc_placement = “adunit”; amzn_assoc_linkid = “a504dd24d6de3f1b9a647efc6ff20fa9”;

After lunch, we usually go to my mom’s side of family. Very fortunately, my parents’ families live close enough, we could do this in one day. And on New Year’s Day, Seoul became a ghost city because a lot of people go to their hometown a day before. We do the same thing with my mom’s side of family, but my mom’s side of family loves singing, so we always have singing contest after dinner.

A day after New Year’s Day, my family usually took a hike on a mountain near my house, or I went shopping with my siblings and friends while everyone else rush back to their house from their hometown. The highway has huge traffic, so my family usually didn’t drive anywhere else a day after New Year’s Day. From Busan to Seoul, it usually takes 4 or 5 hours on a car, but on this day, it sometimes takes 15 hours!!!!

I don’t live in Korea anymore, so I really miss these memories. I am a terrible cook, but this year I made Dduckguk and egg battered fish for myself. I hope we all healthy and happy, Happy New Year to everyone!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How to read phone numbers?

Reading phone numbers in Korean

To read phone numbers, we need to know Sino Korean numbers, which is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 십… (Click here to learn Sino Korean numbers), but we need one more number which is 0. 0 in Korean is either 공 or 영. We use 공 for more than 영 because 공 is easy to pronounce.

Then how to ask someone’s phone number?

전화 번호가 몇 번이에요?  What is your phone number?  
핸드폰 번호가 몇 번이에요? What is your cell phone number? 

Phone number in Korean is 전화 번호 and Cell phone number in Korean is 핸드폰 번호(or 휴대전화 번호). I know! 핸드폰 is literally 핸드(Hand) + 폰(phone), it is Konglish. 🙂 It is funny, right?

Korean cell phone numbers mostly start with 010, let’s read them together.

010-4435-0976      공일공, 사사삼오, 공구칠육.

We read ‘-‘ as 에, so you can read it 공일공에 사사삼오에 공구칠육. When you answer for someone’s question, you have to say it as a full sentence. For example, 010-4435-0976이에요. Adding ‘-이에요’ or ‘-예요’, it depends on a final consonant for the last number. I bet you already know this.

Now you can ask phone numbers in Korean!

Practice> 

010-2654-7896

018-3236-4568

010-3214-4785

010-7412-2580

010-6548-3571

010-4563-7524

02-996-7896

Phone numbers in Korea

  • 119 : emergency phone number
  • 82 is Korean country code.
  • 02 is Seoul code.
  • When you make a phone call from abroad, you will dial 82-10 instead of 010 for cell phones, or 82-2 instead of 02 if you dial to a Seoul phone number.

If you want to learn Native Korean Numbers, please click here.

[reading] 흥부와 놀부-1 Heungbu and Nolbu-1

옛날 옛날에 놀부와 흥부가 살았어요. 놀부와 흥부는 형제였어요. 놀부가 형이고 흥부가 동생이에요. 어느 날, 놀부와 흥부의 아버지가 돌아가셨어요. 놀부는 아버지의 집과 돈을 모두 가지고 싶었어요. 그래서 놀부는 흥부의 가족을 모두 밖으로 쫓았어요.

흥부: “형님, 지금은 겨울이에요. 날씨가 너무 추워요.”
놀부; “나하고 상관없어!”

흥부 가족은 작은 집을 찾았어요. 집은 정말 추웠어요. 하지만 흥부 가족들은 행복했어요. 그런데 흥부는 돈이 없어서 쌀을 살 수 없었어요. 흥부 가족은 매일 배가 고팠어요. 그래서 흥부는 놀부를 찾아갔어요.

흥부: “형님, 쌀을 좀 빌려 주세요.”
놀부: “우리도 쌀이 없어”

그때 흥부는 부엌에서 밥 냄새를 맡았어요. 흥부는 부엌으로 갔어요. 놀부의 아내가 밥을 하고 있었어요.

흥부: “형수님, 밥 좀 주세요.”
놀부의 아내: “밥 없어요. 가세요”

놀부의 아내는 주걱으로 흥부의 왼쪽 얼굴을 때렸어요. 흥부의 얼굴에 밥이 조금 붙었어요. 흥부는 너무 기뻤어요.

흥부: “감사합니다. 오른쪽도 때려 주세요.”
흥부는 얼굴에 붙은 밥을 가지고 집에 갔어요.

<New words>

옛날 옛날에: once upon a time
놀부: Nolbu
흥부: Heungbu
형제: sibling (brothers)
어느 날: one day
돌아가시다: to pass away (honorific)
밖으로 쫓다: to kick someone out
-하고 상관없다: to be not related to
-어서 in 돈이 없어서: because—so—-(click here to learn more)
-(으)ㄹ 수 없다 in 살 수 없었어요: cannot (click here to learn more)
배가 고프다: to be hungry
찾아가다: to go to meet someone
빌리다: to lend/ borrow
-아/어 주세요: do something for someone(Click here to learn more)
냄새를 맡다: to smell
부엌: kitchen
아내: wife
밥을 하다: to cook rice/meal
형수님: a name for one’s sister-in-law of a man
주걱: rice paddle
때리다: to hit, beat
붙다: to stick
-(으)ㄴ in 붙은: a noun modifier(click here to learn more)

Feel free to reply if you have any questions! 

 

subscription

$5.00

[Reading] 신데렐라 Cinderella -2

그 때, 요정이 나타나서 신데렐라에게 예쁜 옷과 유리 구두를 선물로 주었어요. 그리고 말했어요. “12시까지 집에 돌아와야 해요. 12시가 지나면 옷과 구두가 사라질 거예요.”

신데렐라는 예쁜 옷을 입고 유리 구두를 신고 파티에 갔어요. 왕자님은 신데렐라를 보자마자 신데렐라를 좋아하게 되었어요. 하지만 12시가 되어서 신데렐라는 집으로 돌아가야 했어요. 신데렐라가 파티장에서 떠날 때 유리 구두 하나가 벗겨졌지만 시간이 없어서 주울 수 없었어요.

왕자님은 구두의 주인을 찾고 싶었어요. 그래서 마을 사람들 모두에게 구두의 주인과 결혼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새어머니와 두 딸은 왕자님에게 그 구두가 자기의 것이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새어머니와 두 딸의 발은 너무 커서 구두가 맞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신데렐라가 구두를 신었어요. 그 구두는 신데렐라의 발에 꼭 맞았어요. 왕자님은 신데렐라를 찾아서 아주 행복했어요.

왕자님과 신데렐라는 결혼해서 아주 아주 행복하게 살았어요.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New words>
요정: elf, fairy

나타나다: to appear
-과: and (formal)
유리: glass
-을/를 선물로 주다: to give something as a gift
-아/어/해야 해요(돼요): to have to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지나다: to pass
-(으)면: if
사라지다: to disappear
자마자: as soon as
verb+게 되다: to become verb
파티장: party hall
에서 떠나다: to leave somewhere
벗겨지다: to be taken off (shoes, clothes)
줍다  in 주울 수 없었어요: to pick somethig up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ㅂirregular)
주인: owner
모두: everyone (this can be noun or adverb)
-다고 말하다: to say, tell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indirect speech)
자기: oneself
-의: of (it means possesion)
것: thing
맞다: to fit, match
-지 않다: the long negation = 안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마지막으로: finally, at last
행복하+게: happily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adjectvie+게)

 

[Reading] 신데렐라 Cinderella -1

옛날 옛날에 신데렐라라는 예쁘고 착한 아이가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살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신데렐라의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어요. 신데렐라는 무척 슬펐어요.

몇 년이 지난 후에 신데렐라의 아버지는 새어머니를 데려왔어요. 새어머니에게는 아주 못생기고 성격이 나쁜 두 딸이 있었어요. 두 딸과 새어머니는 신데렐라가 예뻐서 신데렐라를 아주 싫어했어요. 새어머니와 두 딸은 신데렐라에게 집안일을 모두 시켰어요. 신데렐라는 힘들었지만 열심히 일을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왕자님이 신데렐라의 마을에서 파티를 열었어요. 신데렐라의 새어머니와 두 딸은 제일 예쁜 옷을 입고 제일 좋은 신발을 신고 파티에 갔어요. 신데렐라도 가고 싶었지만 일을 해야 했어요.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New words>

옛날 옛날에 : once apon a time
-라는(-라고 하는) : that is called
예쁘(다) : to be pretty
-고 : and ( conjuction for verb and adjective)
착하(다) : to be nice, kind
-(으)ㄴ : noun modifier for adjective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함께 : together
(그러던) 어느 날 : one day
갑자기 : suddenly
돌아가시(다) : to die (for elders)
무척 : very
몇 년 : a few years
지나(다): to pass
-(으)ㄴ 후에 : after — (learn more about this grammar click here)
새어머니 : step mother
데려오(다) : to bring someone who is younger or the same age
 못생기(다): to be ugly
성격이 나쁘(다) :  to have bad personality
집안일 : house work
시키(다) : to order, to command
-았/었/했지만 : however, even though (conjunction)
열심히 일을 하(다) : to work hard
마을 : village
파티를 열(다) : to open a party
제일 : the most
-아/어/해야 하(다) : to have to, must

 

 

[Reading] 아기 돼지 삼형제 – Three little pigs

옛날 옛날에 엄마 돼지와 아기 돼지 삼형제가 있었어요. 어느 날, 엄마 돼지가 아기 돼지들에게 말했어요. “이제 너희도 다 컸으니까 나가서 너희 집을 짓고 살아.”

첫째 돼지는 지푸라기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모두 지푸라기로 지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첫째 돼지가 말했어요. “집 짓는 것은 정말 쉬워!”

둘째 돼지는 나무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모두 나무로 지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둘째 돼지가 말했어요. “집 짓는 것은 정말 쉬워!”

셋째 돼지는 벽돌로 집을 지었어요. 집을 짓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하지만 셋째 돼지는 포기하지 않고 튼튼한 집을 지었어요. 지붕도 벽도 문도 굴뚝도 벽돌로 만들었어요. 집을 다 지은 다음에 셋째 돼지는 맛있는 수프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그때, 한 늑대가 아기 돼지 집 근처로 왔어요. 늑대는 먼저 첫째 돼지 집으로 갔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후”하고 불었어요. 그러자 지푸라기 집이 날아갔어요. 첫째 돼지는 둘째 돼지 집으로 달려 갔어요.

그 다음에 늑대는 둘째 돼지 집으로 갔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후”하고 불었어요. 그러자 나무 집에 날아갔어요. 첫째 돼지와 둘째 돼지는 셋째 돼지 집으로 달려 갔어요.

드디어 늑대는 셋째 돼지 집에 도착했어요. 그리고 집 앞에서 늑대는 “후”하고 불었어요. 그런데 집이 날아가지 않았어요. 그래서 늑대는 다시 한번 “후”하고 불었어요. 그리고 또 “후”, “후”, “후”….

늑대는 너무 화가 나서 지붕 위로 올라갔어요. 늑대는 굴뚝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가려고 했어요. 돼지 삼형제는 뜨거운 수프를 벽난로로 옮겼어요. 늑대가 굴뚝으로 내려왔을 때 거기에는 뜨거운 수프가 있었어요. “앗, 뜨거워!”.

늑대는 꼬리가 너무 뜨거워 꼬리를 잡고 도망갔어요. 돼지 삼형제는 집 안에서 그 모습을 보고 크게 웃었어요.

돼지 삼형제 : three pig brothers
집을 짓다 : to build house
너희 : your(multiple)
지푸라기 : hay
지붕 : roof
벽 : wall
벽돌 : bricks
포기하다 : to give up 
튼튼하다 : to be sturdy, healthy 
굴뚝 : chimney 
수프  : soup
늑대 : wolf
날아가다 : to be blown away
달려 가다 : to run 
불다 : to blow
-을/를 통해 : through –
벽난로 : fire place
꼬리 : tail 
도망가다 : to run away 
크게 웃다 : to laugh hard

[Reading]고양이를 입양했어요.

오늘 저희 가족은 고양이 한 마리를 입양했어요. 이 고양이는 우리가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고양이 구조센터에 있던 고양이예요. 처음 이 고양이가 구조센터에 왔을 때 저는 한눈에 반했어요. 이 고양이는 10개월밖에 안 되어서 아직 어리지만 몸이 아주 커요. 이 고양이는 저한테 안기는 것을 정말 좋아하는데 고양이를 안고 있으면 팔이 굉장히 아파요.

저는 엄마한테 이 고양이를 입양하자고 했어요. 그런데 엄마가 집이 더러워진다고 안 된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저는 그 고양이를 집에 꼭 데려오고 싶었어요. 매일 집에 오면 고양이가 생각나고 꿈에서도 나타났어요. 그래서 저는 엄마한테 고양이를 데려오면 제가 집 청소를 하겠다고 말씀드렸어요. 엄마는 한 달 동안 제가 집 청소하는 것을 본 다음에 결정하겠다고 말씀하셨어요. 저는 한 달 동안 정말 열심히 제 방을 정리하고 집을 청소했어요. 엄마를 도와서 반찬도 만들고 설거지도 했어요. 엄마는 열심히 청소하는 저를 보시고 고양이를 데려와도 된다고 하셨어요.

고양이가 집에 온 날 저는 기분이 너무 좋아서 고양이를 꼭 안고 잤어요.

 

 

단어 vocabulary>

입양하다 : to adopt
봉사활동 : volunteer activity
구조센터 : rescue center
한눈에 반하다 : to fall in love with at first sight
noun+밖에 안 되다 : only (=noun+만)
어리다 : to be young
안기다 : to be held in (someone’s) arms
굉장히 : very
-자고 하다 : indirect speech for suggestion (click here to learn more)
더러워지다 : to get dirty (더럽다+어지다) 
데려오다 : to take someone come 
꿈에서 나타나다 : to appear in dreams
말씀 드리다 : to tell someone who is older than a speaker
결정하다 : to decide
정리하다[정니하다] : to organize
반찬 : side dish
설거지하다 : to wash dishes
-아/어/여도 되다 : to allow to do 
안고 자다[안꼬 자다] : to cuddle up with 

 

[Grammar] -ㄴ/는다면서(요)? -ㄴ/는다며?

-(ㄴ/는)다면서(요) / -(ㄴ/는)다며

expresses that you confirm something with the listener which you have heard from someone. In English, we can translate it as ‘I heard (or you said)  —–, right?’. It is used with indirect speech, if you haven’t learned ‘Indirect speech’, please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And in plain speech, we can change it into 다며.

  • Present tense (statement)
  • verb(ending with consonants) + 는다면서(요)?
  • verb(ending with vowels) + ㄴ다면서(요)?
  • adjectives +다면서(요)?
  • nouns + (이)라면서(요)?
  • Past tense (statement)
  • verb/adjective + 았/었/였다면서(요)?
  • noun + 이었/였다면서(요)?
  • Future tense (statement)
  • verb/adjective + -(으)ㄹ 거라면서(요)?

For example,

가: 이번에 거기 눈이 많이 왔다면서요? I heard it snowed a lot there, right?
나: 네, 40센티나 왔어요. Yes, it snowed even 40 centimeters.

가: 저 다음 달에 한국에 가요. I am going to Korea next month.
나: 이번 달에 간다면서요? 일정이 바뀌었어요? I heard that you are going this month. / Didn’t you say that you are going there this month? Is your plan changed?

가: 저 핸드폰 바꿨어요. I bought my new cell phone.
나: 돈 없다면서요? 무슨 돈으로 샀어요? You said you don’t have money, where did you get money?

가: 민수 씨가 옛날에 변호사였다면서요? I heard Minsu was a lawyer before, am I right?
나: 네, 돈을 정말 많이 벌었는데 회사를 갑자기 그만 두었대요. Yes, I heard that he made a lot of money but suddenly he quit.

가: 그 회사가 망했다면서요? 진짜예요? I heard the company is bankrupt, is that real?
나: 그러게요. 저도 어제 들었어요. It is! I heard that yesterday.

가: 한국 사람들은 김치를 매일 먹는다면서요? I heard Koreans eat Kimchi every day, is that right?
나: 네, 저는 김치 없으면 밥 못 먹어요. You are right! I can’t eat a meal without Kimchi.

가: 어, 여기 웬일이에요? 오늘 바쁘다면서요. Oh, what brings you here? You said you are busy.
나: 아…네… 그게…. Uh….. yes……. that is…..

You can listen to audio files by clicking here.

https://quizlet.com/198752291/grammar-flash-cards/

[Grammar] -(으)면 좋겠다

-(으)면 좋겠다 means ‘to hope’, it is the same as -았/었/였으면 좋겠다.

다음 주에 비가 안 왔으면 좋겠어요.   I hope it will not rain next week.

내일 날씨가 따뜻했으면 좋겠어요.  I hope the weather will be warm tomorrow.

새 컴퓨터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I hope I have a new computer.

돈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I hope I have a lot of money.

콘서트에 갈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I hope I can go to the concert.

크리스마스에 눈이 오면 좋겠어요.  I hope it will snow on Christmas.

엄마가 새 옷을 사 줬으면 좋겠어요. I hope my mom buys me new clothes.

우리 아들이 시험을 잘 보면 좋겠어요. I hope my son passes the test.

Click here to listen to the audio file. 

 

You can reply your own sentences, I can correct them!

 

Do you need an online teacher? 

[Reading]내가 좋아하는 계절

가을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계절이다. 가을에는 날씨가 덥지 않고 바람도 시원해서 소풍가기에 딱 좋다. 나는 매년 가을이면 내장산으로 단풍 구경을 가는데 매년 가지만 갈 때마다 새롭다. 올해에도 단풍 구경하기 가장 좋을 때에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계획했다. 내 친구들은 내장산에 가 본 적이 없어서 많이 가 본 내가 모든 여행 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내장산 근처에 6명이 묵을 숙소를 예약하고 차도 이미 빌려 두었다. 단풍이 가장 아름다운 10월 말에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숙소를 미리 잡지 않으면 잘 곳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산책 코스도 미리 정해 두었는데 다리가 불편한 친구가 한 명 있어서 너무 힘들지 않은 코스로 골랐다. 저녁에 먹을 음식과 저녁을 먹고 할 게임 같은 것은 내 친구 정호가 하기로 했다. 정호는 여행 갈 때마다 항상 음식과 게임을 담당해서 잘할 거라고 생각한다.

아직 두 달이나 남았지만 빨리 시간이 가서 내장산의 단풍을 친구들에게 구경 시켜 주고 싶다.

 

단어와 문법>

소풍 : picnic
verb기(에) adjective(좋다 / 나쁘다 /편하다/불편하다) : It is adjective to verb
내장산 : NaeJangSan, located Jeolla Province in South Korea
단풍 : red/yellow maple tree leaves
구경을 가다 : to go to look around
새롭다 : to be new
계획하다 : to plan
-(으)ㄴ 적이 있다/없다: have done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grammar)
계획을 세우다: to make a plan
묵다: to stay(short time)
숙소: a place to stay
예약하다: to book, reserve
숙소를 잡다: to reserve a place to stay
산책: take a walk, stroll
코스: course
정하다: to decide
고르다: to select
담당하다: to take a responsibility
-다고/라고 생각하다: to think that
남다: to be left
구경 시키다: to show

You can listen to the audio file by clicking here.